티스토리

베스핀글로벌 테크센터 블로그
검색하기

블로그 홈

베스핀글로벌 테크센터 블로그

btcd.tistory.com/m

BespinGlobal Tech Center

구독자
71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베스핀글로벌 테크센터 블로그에 오신 ⋯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KT Cloud] Enterprise Security 이용 방법 Server 이용 방법 VM 생성 상품 신청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KT Cloud 서비스 포탈의 클라우드 콘솔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KT Cloud server 메뉴에서 ‘서버 신청’을 이용하여 필요한 VM을 생성합니다. VM을 생성할 tier를 선택하여 VM을 생성합니다. tier는 계정 전용의 가상 네트워크입니다. 포탈상으로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tier(DMZ, private)를 제공하며, 2개 이상의 tier 생성을 원할 때에는 컨설팅 담당자에게 별도의 요청을 주시기 바랍니다. DMZ tier의 IP 대역은 172.16.0.0/24, Private tier는 172.16.1.0/24 입니다. 실제 VM에 할당되는 IP 범위는 .6~.180 입니다.(나머지 대역은 관리용, 로드밸런서 등의 I..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7.
  • [KT Cloud] Enterprise Security 상품 신청 컨설팅 신청 고객은 포탈을 통하여 서비스 컨설팅을 요청합니다. Enterprise security는 컨설팅을 통해서만 서비스가 활성화됩니다. 위 화면 오른쪽에 컨설팅 신청 버튼을 눌러 컨설팅을 신청합니다. 위 화면에서 각각의 항목을 입력하고 신청버튼을 누르시면 기재된 연락번호로 컨설팅 담당자가 고객께 연락하여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고객 컨설팅 컨설팅 담당자의 오프라인으로 시스템 수요 및 서비스 이용 프로세스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고객사에서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실 경우 고객사 전용의 도메인생성 및 계정생성 단계로 넘어갑니다. 고객 도메인 생성 (KT 운영센터) 및 고객 계정 생성 (고객사) Enterprise Security 상품은 별도의 내부 도메인 규정이 있습니다. 컨설팅 담당자는 일정한 양식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7.
  • [KT Cloud] Enterprise Security 상품 개요 목적/용도 Enterprise Security 서비스는 일반 클라우드에 비해 H/W 보안장비 기반으로 강화된 보안을 제공하는 기업특화 클라우드로, 기업 중요 시스템, 금융, 의료 등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하는 분야에 더욱 적합합니다. 자동화 기반의 방화벽 서비스로 사용자가 방화벽 정책을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매니지드 옵션 선택) 사용자는 자신이 네트워크 및 방화벽 정책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KT Cloud 서비스를 빠르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특·장점 보안성, 고성능 침입탐지시스템(IPS), 방화벽, VPN 등 물리 보안장비로 구현되어 보안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트래픽 필터링을 통하여 보안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 DMZ존과 private존을 분리를 통한, .. 공감수 0 댓글수 1 2022. 12. 27.
  • [KT Cloud] CDN Global 상품 개요 목적/용도 KT Cloud CDN Global 이란? 고객은 KT Cloud CDN Global이 자신의 웹서버에 보관된 원본 컨텐츠를 캐싱(저장)해서 최종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고객은 특정 지역을 구분해서 서비스를 신청할 필요 없이 전세계 110개 국가, 2,700여 지역, 1,400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20만대 이상의 분산된 서버 중 최종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서버를 이용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전세계의 최종 사용자가 고객의 웹서버에 보관된 컨텐츠에 접근하는 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종사용자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이 동시에 폭주하더라도 웹 서버의 부하 걱정 없이 효율적으로 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구조/원리 시스템 구성도 (개념도 및 Flow) 유의..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7.
  • [KT Cloud] CDN Standard 2.0 -> 3.0 마이그레이션 방법 마이그레이션 절차 요약 1. CDN 3.0 서비스 생성 2. CDN 3.0 서비스 테스트 3. 트래픽 이관 (CDN 2.0 → CDN 3.0) 4. 결과 확인, CDN 2.0 서비스 삭제 주의 사항 트래픽 마이그레이션 전, 반드시 사용자 환경에서 충분한 테스트를 하시기 바랍니다. CDN에 위임된 서비스도메인의 네임서버가 여러 개 또는 여러 회사일 경우, 빠짐없이 적용하셔야 합니다. 오리진 환경에 보안장비가 있어 cdn ip를 허용처리 하고 계시다면, 변경되는 cdn ip 도 허용 조치 하셔야 합니다. (cdn 3.0 edge ip : 183.110.28.0/24, 183.111.45.0/24) cdn 3.0으로 트래픽 이관 후 문제가 없다면, 적절한 시점에 2.0 서비스는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1. CD..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7.
  • [KT Cloud] CDN Global 기능 고객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및 확인 KT Cloud CDN이 제공하는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컨텐츠를 전달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xample.ucloudcdnglobal.com을 글로벌 CDN 도메인 주소를 제공받은 경우, 원본 서버 또는 KT Cloud storage의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sample.jpg의 서비스 URL은 http://example.ucloudcdnglobal.com/sample.jpg 가 됩니다. 고객이 고유의 서비스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DNS 서비스에서 서비스도메인 (예)www.example.com)으로의 query를 CDN 도메인 네임(Ex. example.ucloudcdnglobal.com) 으로 우회하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7.
  • [KT Cloud] CDN Standard 3.0 기능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방법 CDN 3.0 스트리밍은 원본 미디어파일을 스트리밍 프로토콜(HLS, DASH)로 변환해서 스트리밍하는 서비스 입니다. 원본 미디어 파일 mp3와 mp4 포맷으로 만들어진 파일만 원본 미디어 파일로 사용 가능합니다. 지원 코덱 CDN 3.0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원본 미디어 파일의 코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오디오 코덱: AAC, MP3 2) 비디오 코덱: H.264(AVC), H.265(HEVC) 추천 인코더 ffmpeg를 사용해서 미디어 파일을 만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른 인코더에서 만들어진 미디어 파일로도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다른 인코더를 사용한 미디어파일이 스트리밍 서비스가 되지 않는 경우, ffmpeg를 사용해서 다시 인코딩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27.
  • [KT Cloud] CDN Standard 2.0 기능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까지 KT Cloud CDN서비스의 설명과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 시간에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DN Standard 2.0 기능 KT Cloud CDN Standard 서비스를 이용할 때, 포탈 이용방법 외에 서비스를 잘 활용하기 위한 기능 측면의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 인증서비스 사용방법 캐시 기능 DNS 설정 방법 CDN 서비스 테스트 방법 RTMP(Real Time Messaging Protocol) 스트리밍 서비스 이번 가이드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프로토콜 2가지 이용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가이드 드리는 프로토콜은 iOS에서 사용하는 HLS 프로토콜과 Adobe Flash Pl..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19.
  • [KT Cloud] CDN 3.0 이용방법 지난 시간에 설명드린 CDN 2.0에 이어 CDN 3.0 이용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KT Cloud CDN 3.0 이용방법 KT Cloud CDN Standard 서비스 관리 CDN3.0 서비스를 이용하시려면, 콘솔 All Services메뉴에서 에서 CDN Standard (CDN3.0)을 체크하여, 상품신청을 진행해야 콘솔에서 CDN3.0 이용이 가능합니다. * 기존 CDN Standard(CDN2.0)와 CDN3.0 서비스는 별개의 서비스이며, CDN2.0의 신규청약은 불가합니다. KT Cloud CDN 3.0 서비스 관리 KT Cloud 의 모든 서비스는 포탈 내 클라우드 콘솔을 통해 관리되고 있어(생성, 변경, 정지, 삭제, 조회 등) [CDN3.0] 메뉴를 통해 제어가 가능합니다.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19.
  • [KT Cloud] CDN Standard 이용방법( CDN 2.0) 지난 시간에 소개드렸던 KT Cloud의 CDN Standard 중 CDN 2.0 이용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CDN Standard 이용방법 (CDN 2.0) KT Cloud CDN Standard 서비스 관리 kt cloud 의 모든 서비스는 포탈 내 클라우드 콘솔을 통해 관리되고 있습니다.(신청, 변경, 정지, 해지, 조회 등) KT Cloud CDN Standard 서비스는 [CDN] 메뉴를 통해 제어가 가능합니다. ※ 2020년 10월 29일 이후, CDN 2.0 서비스는 신규청약이 불가하며, CDN3.0으로만 신규 청약이 가능합니다. - KT Cloud CDN Standard 서비스를 조회하고, 신청/변경/정지/해지하실 수 있습니다. - Usage: KT Cloud CDN Standar..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19.
  • [KT Cloud] CDN Standard CDN Standard 상품 개요 사용 목적 CDN(Contents Network Delivery) 이란? 지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컨텐츠를 제공 하는 기술로서 사용자에게 느린 응답 속도 및 다운로딩 타임을 개선 하기 위한 서비스 입니다. 원격지(Origin-Server)에 있는 컨텐츠를 CDN 내 캐싱 서버를 통해 캐싱하여 컨텐츠를 전송 하는 서비스입니다. KT Cloud CDN 서비스는 CDN 서비스를 하기 위해 적합한 캐시 서버를 구성하여 국내 사용자에 빠른 응답 속도 및 반복적인 요청에 접근 하는 품질을 크게 개선 할 수 있습니다 구조 및 원리 시스템 구성도 최초 요청은 원격지(Origin-Server)에서 컨텐츠를 가져와 사용자(End User)에게 전송하..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2. 19.
  • [KT Cloud] OKD(Open Shift)를 이용한 K2P 사용 가이드 (1) K2P 상품은 KD(Open Shift) 를 이용하여 kubernetes 기반 컨테이너 환경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OKD를 이용한 K2P 사용 방법에 대하여 일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OpenShift CLI(oc) 사용한 Cluster 접근 방법 1-1) Windows OS 일 경우 https://github.com/openshift/origin/releases 로 이동 해당 OS에 맞는 'openshift-origin-client-tools-v3.11.0-0cbc58b-windows.zip' 파일 다운로드 압축 해제 후 'oc.exe' 파일을 C:\Windows\System32 경로로 이동 Windows CMD 창에서 'oc' 명령어 사용 시 다운로드 확인 접속하고자 하는 Cl.. 공감수 1 댓글수 1 2022. 12. 12.
  • [KT Cloud] K2P 서비스 생성 이번 시간에는 K2P 서비스 생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K2P 신청방법 D1플랫폼 사용시 별도 신청 과정 없이 K2P 서비스가 기본 제공 되며, 콘솔 화면 K2P 메뉴에서 Cluster 생성 가능. 2. Cluster 생성 ※ Cluster 생성 오류 발생 시, 브라우저 크롬 캐시 삭제 후 Cluster 생성 재시도 cloud.kt.com의 콘솔 화면에서 좌측 'K2P' 상품 클릭 후 'Cluster 생성' 클릭 클러스터 명과 DMZ Tier, Private Tier를 선택하고 Orchestration Tool 버전 선택 후 '다음' 버튼 클릭 Worker Node 접속을 위해 원하는 Key Pair 선택 (Key Pair는 'Server'-'SSH Key Pair' 에서 생성 가능) Priva..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1. 24.
  • [KT Cloud] K2P Standard 상품 소개 오늘은 K2P 상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K2P 상품이란? KT Cloud 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Kubernetes 서비스로 Standard 형과 Enterprise 용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 중 Standard 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2P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tainer Cluster 자동 관리 KT Cloud 자원(Server/Disk/LoadBalancer/NAS)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Cluster를 생성하고 Kubernetes Cluster 설정을 자동화합니다. KT Cloud Container 사용자들이 컨설팅이나 수동 설치 없이 바로 Container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별도 제공되는 포탈을 통해 Multi-Cluster 연동하여 One-View로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1. 7.
  • [KT Cloud] DBaaS 소개 KT Cloud의 DBaaS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DBaaS 란? KT Cloud 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Database 상품들로 DB 관련 작업 ( 테이블 생성, 계정 관리 등 )을 KT Cloud 콘솔 상에서 UI 형태로 손쉽게 할 수 있고, DB 서버 관리도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편의성이 매우 뛰어난 DB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단한 설정만으로 DB 이중화, 백업, 모니터링 등의 기능도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DB 관리에 대한 시간 및 인력 투입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시스템 구성도 고객이 소유한 KT Cloud DB 인스턴스와 KT Cloud DB 관리 시스템은 가상라우터 및 방화벽에서 서로간에만 허용한 경로를 통하여 변경 및 모니터링을 수행합니다. DB 관리 시스템으..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0. 28.
  • [KT Cloud] 웹방화벽(WAF) PRO 이용방법 KT Cloud 포탈에서 웹방화벽 Pro 서비스 구성 및 환경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웹방화벽 Pro의 생성 및 삭제 웹방화벽 Pro의 생성 및 삭제 웹방화벽 Pro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웹방화벽 Pro 신청 팝업 화면에서 서비스를 생성합니다. 상품소개에서 보안 -> 웹방화벽 Pro를 선택 -> 상품 신청 버튼 클릭 웹방화벽 생성 1 단계 : 서비스 구성 (1) 생성되기를 원하는 위치를 선택합니다. (2) 이름을 입력합니다. (3) 3가지 사양 중 하나를 선택 합니다. 각 사양별로 요금이 다르니, 사양별 가격은 요금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 이중화를 권고 드립니다. (4) SSH 접속을 위한 Public Port를 입력합니다. 해당 포트는 서버네트워킹 -> 포트포..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9. 27.
  • [KT Cloud]WAF Pro 개요 오늘은 WAR Pr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WAF Pro 란? kt KT Cloud 웹방화벽 Pro는 보안전문가에 의해 종합적인 웹서버 보안을 관리하는 매니지드형 웹방화벽 서비스로 OWASP Top 10 공격을 비롯한 최신 웹 공격 방어는 물론 컨설팅부터 설치, 운영, 침해대응까지 종합적인 보안관제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F/W, IPS, WAF 비교 구분 Firewall IPS WAF 내용 -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호하는 데 임무 초점 - 80, 443 포트는 정상적인 통신으로 간주 - 웹 프로토콜(HTTP, HTTPS) 제어 불가능 - L3 – L7 Layer 전반에 걸친 보안 기능 제공 - SSL 통신에 대한 방어능력 미흡 - 시그니처 방식에 의존 함으로, 우.. 공감수 1 댓글수 1 2022. 9. 16.
  • 웹방화벽 이용방법 웹방화벽의 생성 및 삭제 WAF은 다음 순서로 웹 방화벽 신청 화면에서 서비스 구성을 합니다. 상품소개에서 보안 -> 콘솔에서 WAF 선택 -> 웹 방화벽 생성 버튼 클릭 1 단계 서비스 구성 (1) WAF 가 생성되기를 원하는 위치를 선택합니다. (2) WAF 이름을 입력합니다. (3) Single 선택, WAF 의 이중화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는 Single 을 2 개 생성하여 구성합니다. (4) 사양 : 필요 트래픽에 따라 상품(Standard, Advanced, Premium)을 선택합니다. 각 상품별 Throughput은 (350 / 600 / 1000)이므로 서비스 최대 트래픽을 고려하여 상품 선택이 필요하며, 안정적 서비스를 위해 반드시 이중화 하여 구성할 것을 권고합니다. (5) WAF이 사..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8. 24.
  • [KT Cloud] 웹방화벽(WAF) 개요 오늘은 웹방화벽(WA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적/용도 웹방화벽은 웹서버 앞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HTTP/HTTPS 트래픽을 감시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이 탐지되면 해당 공격이 웹 서버에 도달하기 전에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림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웹방화벽은 방화벽에서 걸러주지 못하는 응용계층의 위험한 유해 트래픽을 웹 서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근본적으로 차단합니다. 고도로 지능화, 다양화되고 있는 웹 공격을 효율적으로 탐지 및 차단하여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일반적인 방화벽은 출발지 및 목적지의 IP/Port 정보 기반으로 필터링을 하는 보안 장비로 TCP/IP 프로토콜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실시하기 때..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16.
  • [KT Cloud] Private DNS 소개 및 이용 방법 Private DNS 상품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개요 Private DNS 서비스는 KT Cloud 에서 고객 전용 DNS 사용을 원하시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 입니다. 기존 DNS 서버 사용을 위한 복잡한 설정 없이 Cloud 상에서 자동으로 구축하며, 웹 콘솔을 통해 DNS 도메인과 레코드를 쉽게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대량의 도메인 및 레코드를 고객 적용으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Private DNS의 특장점 3. 서비스 아키텍처 및 제약 사항 * 아키텍처 * 제약 사항 4. Private DNS 이용 방법 1. Private DNS Name Server 생성 신청 ㅇ Name Server > 'Name Server 생성' 버튼 클릭 - 이름: DNS Na..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9.
  • [KT Cloud]Private Subnet 오늘은 KT Cloud의 Private Subnet 개념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Private Subnet Private Subnet 구성도 현재 KT Cloud server 생성시 VM에 Single NIC(Network Interface Card)만 제공되어, 내/외부 트래픽이 동일 네트워크에서 유통됨 Private Subnet (구.CIP) 사용시 VM에 Multi-NIC이 제공되어, 외부 트래픽과 내부 트래픽을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통 가능 아래 그림과 같이 별도 네트워크 대역을 통해 Tier 구성(ex. WEB server-DB서버), Inter-AZ 사용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 1개 Zone에서 1개의 CIP만 생성 가능 Private Subnet (구.CIP) 생성 KT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8. 4.
  • [KT Cloud] 스냅샷 생성 Disk Snapshot ‘스냅샷’은 현재 VM disk volume들의 상태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스냅샷을 저장해둔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이미지 생성 및 볼륨 생성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단 시간에 VM에 대한 정보의 백업, 복원이 가능하며 서버의 설정 및 데이터를 모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Disk Snapshot 생성 스냅샷을 생성하기 위해 “클라우드콘솔” → “Server” → “Disk”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스냅샷을 생성하기 위한 서버를 선택하신 후, ‘’상세정보” 탭의 오른 편 하단에 위치한 “스냅샷” 버튼을 클릭 합니다. ※ 주의 : 스냅샷 기능은 VM 의 volume 을 가상 디스크 이미지로 백업하는 기능이므로 VM 의 메모리나 CPU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7. 26.
  • [KT Cloud] NAS 연동 NAS에 Attach 와 Detach 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주의 사항 클라우드 서버의 eth1 인터페이스를 통해 NAS 와 통신이 이루어 집니다. Linux VM 의 경우에는 초기 eth0 만 존재 하기 때문에 mount 전에 eth1 에 대한 인식이 필요 합니다. NFS 기본 모듈 설치 : yum install showmount(centos 6.5), apt-get install nfs-common 1. Attach 1. Mount 할 수 있는 볼륨이 있는 지 확인: showmount –e [대상 주소] 2. Mount 디렉토리 생성 : mkdir [디렉토리 명] 3. Mount : mount –t nfs [대상주소:/경로] [mount 할 디렉토리] 4. Mount 상태 확인 : df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7. 19.
  • NAS Volume 생성 NAS 상품 개요 구조/원리 KT Cloud NAS 서비스는 KT Cloud 에서 제공하는 NAS 를 KT Cloud server 에서 attach, detach 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KT Cloud server 에서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NIC 이외 NAS 사용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도록 multi-NIC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고객의 Volume 은 VLAN 으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유의사항/제약사항 스냅샷 용량은 별도 과금하지 않으며 사용용량에 포함 됩니다. NAS 서비스는 볼륨당 최대 10TB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볼륨당 추가 신청 가능한 용량은 장비의 제약을 받습니다. 대용량의 볼륨이 필요한 고객은 고객센터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볼륨(NFS, CIFS)당 ino..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7. 13.
  • [KT Cloud] Volume 생성 이전 시간에 Storage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Volume 생성 및 Mount 하는 과정을 알아 보겠습니다. Volume 개요 원하는 용량의 데이터 볼륨을 생성하고, 이를 서버에 연결하여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HDD 기반의 볼륨을 지원하며, 볼륨은 10GB 단위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Volume 생성 Server > Volume 에서 [볼륨 생성]을 클릭합니다. 위치, 이름, 상품, 용량, 요금제 설정하고 [생성하기]를 클릭합니다. 목록에서 생성된 볼륨을 확인합니다. Volume 연결 생성한 볼륨을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Volume을 연결할 대상 서버를 선택하고 [연결하기]를 클릭합니다. 해당 Volume의 상태가 '분리'에서 '사용'으로 바뀌었는지 확인합니다. Volu..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7. 6.
  • [KT Cloud] Storage 상품 소개 CSP에서 Storage 상품은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든 신청만 하면 원하는 성능을 가진 저장소를 만들어 주는 상품으로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 및 SSD를 대채할 수 있는 상품 입니다. KT Cloud 에는 Storage 상품은 Object Storage, NAS, SSD Volume 상품을 지원합니다. 각 상품에 대해 알아봅시다. 1. Object Storage * Petabytes 규모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고확장성 스토리지로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data 저장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Storage 서비스. * RESTful API (HTTP 프로토콜 활용) *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Object Storage 내 Data에 대해 URL을 통한 손쉬운 접근이 가능합..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6. 28.
  • LENA WAS 설치 WAS Node 설치 WAS Node의 설치 시 고려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ENA Manager와 WAS Node를 같은 Server에 설치 2. LENA Manager와 WAS Node를 다른 Server에 설치(LENA Manager 독립 설치) 1번과 같은 상황으로 Lena Manager Server에 WAS Node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시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LENA 매뉴얼 추천 디렉토리 경로 입니다. ) * LENA 디렉토리 : /engn001 * java 디렉토리 : /engn001/java * LENA Manager 디렉토리 : /engn001/lena/1.3 1. Node Agent 실행 $ cd /engn001/lena/1.3/bin..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6. 22.
  • LENA-WEB 설치 이전 시간에 LENA Manager 설치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Web 서버 설치 및 LENA Manager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사전 작업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 lena 계정 생성 * lena 전용 디렉토리 생성 * java 파일 압축해제 * lena web 파일 압축해제 예시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LENA 매뉴얼 추천 디렉토리 경로 입니다. ) * LENA 디렉토리 : /engn001 * java 디렉토리 : /engn001/java * LENA Manager 디렉토리 : /engn001/lenaw/1.3 2. LENA Web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lena로 변경시켜 줍니다. 3. lena 계정으로 변경한 후, /engn001/..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6. 13.
  • [KT Cloud] LENA Manager 설치 LENA는 먼저 LENA Node들을 관리할 LENA Manager 서버가 필요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LENA Manager 서버를 설치 및 LENA Manager 에 접속하는 법을 배워보겠습니다. 1. 사전 작업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 lena 계정 생성 * lena 전용 디렉토리 생성 * java 파일 압축해제 * lena was 파일 압축해제 ( lena web 이 아닌 lena was로만 manager를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예시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LENA 매뉴얼 추천 디렉토리 경로 입니다. ) * LENA 디렉토리 : /engn001 * java 디렉토리 : /engn001/java * LENA Manager 디렉토리 : /engn001/lena/1.. 공감수 0 댓글수 1 2022. 6. 7.
  • LENA WEB Server(KT G-cloud 상품) LENA Web Server는 웹 상에서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안정성 및 고가용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웹서버 입니다. LENA Web Application Server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통합관리 콘솔(LENA Manager)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웹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고, 모니터링을 통해 서버 장애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특징 클라우드 최적화 다양한 클라우드 전환 아키텍처 지원 지속적인 서비스 운영과 자원 최적화를 위한 확장성 지원 가변적인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정적 Load Balancing 제공 효율적 서비스 운영 Cloud 기반의 다중 서비스 관리/운영에 최적화 다수 서버의 중앙 관리 및 제어를 통한 운영 편의성 / 효율성 제고 통..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6. 2.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