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씨가문의 영광입니다.
오늘은 Terragrunt 개념 및 사용법에 대한 두번째 편입니다!
지금부터 알아볼까요??
Terragrunt 장점
먼저 Terragrunt가 나오게된 배경을 다시 한번더 리마인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erraform으로 인프라를 관리하기 시작하면서, 하나의 통합된 프로젝트 구조로는 관리의 한계성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Terragrunt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더욱 프로젝트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Terragrunt의 장점을 한번 살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1. 테라폼 코드를 한번만 정의하여, 환경변수를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2. 테라폼 Backend 파일을 한번만 선언하여 DRY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3. 여러 모듈에 대해 한번의 커맨드로 실행 할 수 잇도록 만들어 줍니다.
4. 테라폼 명령어 실행 전&후에 사용자 지정 코드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은 Terragrunt를 사용함으로써 코드의 반복성을 줄일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대표적으로는 간단히 두가지가 있습니다.
1.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면 중복 되지 않은 코드를 작성하기가 어렵습니다.
2. 버전이 다르면 .hcl 언어의 문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이번에는 Terragrunt의 장단점을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오늘로 Terraform & Ansible의 내용에 대해서 막을 내리게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저희 조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더 재밌는 주제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INFRA > Ope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ssPlane에 대해 (0) | 2023.06.07 |
---|---|
[Ansible] Ansible 설치 및 apache 배포 (0) | 2023.05.25 |
Terragrunt 개념 및 사용법 - 1 (0) | 2023.01.16 |
Aztfy 개념 및 사용법 - 2 (0) | 2023.01.09 |
Aztfy 개념 및 사용법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