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하~! 안녕하세요 금쪽상담소의 오은영석사와 금쪽이 입니다.
이번주도 돌아온 금쪽상담소입니다~!~! 한주동안 잘 지내고 계셨나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6.gif)
이번주에 배워볼 내용은 무엇일까요??
두구두구두구.....
바로 GCP의 Cloud Run과 Cloud Function입니다!!
지금 바로 알아보러 가볼까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24.gif)
Cloud Run이란?
Google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에서 직접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게 해 주는 관리형 컴퓨팅 플랫폼입니다.
- Cloud Run은 Google Cloud에서 다른 서비스와 잘 작동하도록 빌드되었으므로 완전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가능
-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할 경우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Cloud Run에 배포 가능
- Cloud Run 서비스를 운영, 구성, 확장하는 데는 시간 소모가 많지 않음
- Cloud Run은 Serverless서비스 이므로 클러스터를 만들거나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 없음
- 코드 실행을 위한 두 가지 방법 존재 - Cloud Run 서비스, Cloud Run 작업
Cloud Run 서비스
Cloud Run 서비스는 안정적인 HTTPS 엔드포인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코드가 TCP 포트에서 HTTP 요청을 처리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서비스 기능
- 모든 서비스의 고유 HTTPS 엔드포인트
- 빠른 요청 기반 자동 확장
- 기본 제공되는 트래픽 관리
- 비공개 및 공개 서비스
Cloud Run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 웹사이트 및 웹 애플리케이션 - 원하는 스택을 사용해서 웹앱을 빌드하고 SQL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동적 HTML 페이지를 렌더링합니다.
- API 및 마이크로서비스 - REST API나 GraphQL API 또는 HTTP 또는 gRPC로 통신하는 비공개 마이크로 서비스를 빌드할 수 있습니다.
-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 Cloud Run 서비스는 Pub/Sub 푸시 구독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고 Eventarc에서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Cloud Run 작업
스크립트에서와 같이 코드 작업이 수행되고 중지되면 Cloud Run 작업을 사용하여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gcloud CLI를 사용하여 명령줄에서 작업을 실행하거나, 반복 작업을 예약하거나, 워크플로의 일부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Cloud Run 작업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 스크립트 또는 도구 -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또는 기타 운영 작업을 수행합니다.
- 배열 작업 - Cloud Storage 버킷에 있는 모든 파일의 처리를 대량으로 동시에 수행합니다.
- 예약된 작업 - 정기적인 간격으로 인보이스를 만들고 전송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쿼리 결과를 XML로 저장하고 파일을 몇 시간 간격으로 업로드합니다.
Cloud Function이란?
클라우드 서비스를 빌드 및 연결하기 위한 서버리스 실행 환경입니다.
클라우드 인프라와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연결되는 단일 목적의 간단한 함수를 작성 할 수 있으며 함수는 감시 중인 이벤트 발생 시에 트리거됩니다.
특징
- 클라우드 서비스 연결 및 확장
- 클라우드 서비스의 연결과 확장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로직의 연결 레이어를 제공
- Cloud Storage로의 파일 업로드, 로그 변경 또는 Pub/Sub 주제의 수신 메시지를 리슨 및 응답 가능
-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임의의 프로그래밍 로직으로 증가하는 사용 사례를 처리 가능
- Google 서비스 계정 사용자 인증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Cloud Vision 등과 같은 대부분의 Google Cloud 서비스를 통해 원활하게 인증
- 이벤트 및 트리거
- Cloud 이벤트란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변경, 저장소 시스템에 파일 추가, 새로운 가상 머신 인스턴스 생성 등이 포함
- 이벤트는 응답 여부와 관계없이 발생
- 트리거를 사용하여 이벤트에 대한 응답 생성
- 트리거란 특정 이벤트 또는 이벤트 집합에 관심이 있음을 나타내는 선언
- 함수와 트리거를 결합하면 이벤트를 포착하여 조치 가능
- 서버리스
- 서버 관리, 소프트웨어 구성, 프레임워크 업데이트, 운영 체제 패치 적용 등의 작업을 제거
- 소프트웨어와 인프라가 Google에서 모두 관리되므로, 사용자는 코드만 추가 진행
- 리소스는 이벤트 발생 시 자동으로 프로비저닝
- 별도의 작업 없이 함수를 하루 몇 번에서 수백만 번까지 호출 가능
사용 사례
- 데이터 처리/ETL
- 웹훅
- 경량형 API
- 모바일 백엔드
- IoT
이렇게 이번시간에는 Cloud Run과 Cloud Function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였습니다.
유익한 시간이 되었길 바라며...
저희 금쪽 상담소는 다음 시간에 더욱더 흥미로운 정보들로 꽉꽉 채워 돌아오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10.gif)
그럼 다음 시간을 기약하며 그때까지 베빠~!
출처 : https://cloud.google.com/run/docs/overview/what-is-cloud-run?hl=ko
출처 : https://cloud.google.com/functions/docs/concepts/overview?hl=ko
'CSP (Cloud Service Provider) > G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Composer 안의 Airflow 데이터 베이스 접속하기 (0) | 2023.07.13 |
---|---|
[GCP] VPC Connector (0) | 2023.07.08 |
Bigquery ARRAY, STRUCT 구조 (0) | 2023.07.07 |
조직 내 커스텀 이미지 공유 (0) | 2023.07.06 |
Google Analytics란? (0) | 2023.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