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KNOWLEDGE

인프라 관리자가 봐야 할 컴퓨터 부품 선정 (2)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5. 3.

안녕하세요~~~!!!~!~!! BTC 막내가 최고야 팀입니다!

이번에도 저번주와 같이 서버 내부 부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메모리로 들어가볼까요?!

 

 

 

 


 

1. 메모리란?

메모리는 단기 기억 영억이라고 불리며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지만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모두 지워집니다. 종류를 보면 최근에는 DDR3 SDRAM Doubel-Data-Ratye3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이 주류입니다.

 

메모리 속도는 메모리 자체의 속도와 cpu와 각종 버스 간의 데이터 전송 폭을 모두 고려합니다. 보통 DDR3 메모리는 DDR3-1600 처럼 표기합니다. 이중에서 1600에 해당하는 부분이 데이터 전송속도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

1600MHz로 동작

1.600MHz X 8bytes = 12.800MB/초 = 12.8GB/초가 됩니다.

 

 

 

2. 메모리 관련 용어 정리

  • 슬롯 : 메모리는 메인보드에 꽂습니다. 슬롯은 메인보드에 있는 메모리 삽입구를 뜻하므로 메모리 슬롯이 8개인 서버는 메모리를 8개 삽입 할 수 있습니다.
  • ECC 메모리 : 메모리 고장으로 비트 반전 오류가 발생했을때 자동으로 보정 감지할 수 있도록 ECC Error Correction Code ( 오류 보정 부호) 라고 불리는 패티리 정보가 추가된 메모리를 말합니다. 하드 디스크처럼 가동 부분이 있는 부품과 비교하면 메모리는 고장이 잘 안나지만 서버 운영대수가 수백대를 넘어서는 시점부터는 메모리 오류를 경험합니다. 이때 일반 메모리를 사용하면 운영체제 수준에서 종료하지만 ECC 메모리를 사용하면 반전 오류를 메모리 스스로 바로잡게 됩니다.
  • 채널 : CPU와 메인보드의 칩셋이 복수의 채널을 지원하면 채널별로 같은 종류의 메모리를 탑재해 데이터 폭을 넓히고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중 채널을 실현 할 때 프로세서 메모리 구성은 동일해야 한다는 규정이 존재합니다. 

메모리 채널 예시

  • 랭크 : 메모리 컨트롤러가 메모리의 DRAM에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위입니다. 하나의 랭크는 64bit 단위로 입출력하며 메모리와 DRAM칩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싱글랭크, 듀얼랭크, 쿼드랭크 등이 있으며, 싱글랭크 메모리에서는 하나의 메모리에 64bit DRAM 칩이 탑재됩니다. 서버에 메모리를 삽입할 때 랭크의 총 사용 수가 많아지게 조합하면 액세스 성능이 향상되지만 메모리 컨트롤러가 다룰 수 있는 랭크의 수는 제한이 있는점 참고하시면 됩니다.
  • UDIMM : Unbuffered DIMM 으로 불리는 버퍼 없는 DIMM으로 대부분 일반용 컴퓨터 메모리로 사용됩니다.
  • RDIMM : Registered DIMM 으로 불리는 레지스터로 DIMM 클럭과 주소 등의 제어신호를 버퍼 회로가 가져옵니다. 대용량 메모리나 안장적으로 운영이 필요한 서버용 메모리로 자주 사용되며 중간에 버퍼 회로가 끼어들어 레이턴시가 증가하므로 UDIMM보다 액세스 속도는 약간 떨어집니다.
  • LRDIMM : RDIMM을 더욱 발전시킨 방식으로, 메모리 컨트롤러와 메모리 칩 사이의 모든 통신이 버퍼 회로를 매개로 이루어집니다. 메모리 버스 전체의 부하를 줄여 메인보드의 장착가능한 모듈 수를 늘리거나 모듈 하나당 메모리 칩 수를 늘립니다.
  • LV : 일반 메모리보다도 전압을 낮추어 저전력을 실현한 메모리

 

 

 

3. 메모리 표기법

메모리 표기법은 위 사진과 같습니다

 

 

 

4. 메모리 삽입 방법

각 프로세서(CPU)의 메모리 구성은 같아야한다
RDIMM 메모리와 UDIMM 메모리는 섞어서 쓸 수 없다
각 채널에 탑재하는 메모리는 같은 종류로 해야한다.
저전압 메모리와 저잔압이 아닌 메모리는 섞어서 쓸 수 있을때가 많다
원치적으로 ECC메모리와 비 ECC 메모리는 섞어서 쓸 수 없다.

 

 

 

5. 메모리 산정 포인트

  • 용량 : 필요한 메모리 용향을 계산해서 설치한다.
  • 성능 : 메모리에 빠르게 액세스 하려면 고속인 메모리 선택, 듀얼 채널 이상일때는 가장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는 방식으로 삽입합니다. 메모리 컨트롤러가 다룰 수 있는 최대 랭크 수 까지 사용하면 성능이 향상됩니다.
  • 확장성 : 메모리수는 한정돼있으므로 앞으로 확장이 예상될 때는 비싸더라도 대용량 메모리를 선택합니다.

 

책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지은이 : 사노 유타카) 참고

서버 내부 부품 중 이때까지 크게 CPU, Memory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주에는 마지막으로 Disk에 대해서 다뤄볼게요~!

그럼 다음 시간까지 안녀어엉ㅇ~~~~~~~~~~~~~~~~~~~~~~~~~♡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