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하~ 뉴진쓰팀의 큰뉴진입니다!
AWS에서 EC2를 생성하려면 AMI가 필요하다는 것을 아실텐데요,
그렇다면 AWS에서 제공하는 AMI에 대해선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15.gif)
Amazon Linux라는 다양한 AMI는 최신 Amazon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인스턴스 기능을 지원하며 AWS와 쉽게 통합할 수 있는 패키지를 포함하고 있어요.
AWS에서는 Amazon Linux를 실행하는 모든 인스턴스에 대해 지속적인 보안 및 유지 관리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있어요.
지금부터 어떤 기능이 있는지 설명드릴게요.
1. 라이센스 비용 없이 무료로 제공
2. 최신버전의 패키지 업데이트 지원
Amazon Linux2는 2가지 방법으로 패키지를 업데이트 할 수 있어요.
- 전체 패키지를 업데이트 하고 싶을 때는
yum yudate -y
- 특정 패키지만 업데이트 & 활성화 하고 싶을때는
amazon-linux-extras list 명령어를 통해서 available한 패키지를 확인하고
sudo amazon-linux-extras enable topic 명령어로 원하는 패키지를 enable하거나
sudo amazon-linux-extras install topic 설치할 수 있어요
enable한 패키지는
sudo yum clean metadata 후
yum install topic을 실행하면 설치할 수 있어요
Amazon Linux 2023은 기본적으로 분기마다 메이저 릴리즈를 실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패키지 업데이트가 필요없이 최신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어요.
DNF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패키지 리포지토리를 관리하기때문에 릴리즈에 대한 정보는 DNF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요.
**sudo dnf check-release-update 명령어로 사용가능한 버전을 확인하고
A newer release of "Amazon Linux" is available.
Available Versions:
Version 2023.0.20230210:
Run the following command to update to 2023.0.20230210:
dnf update --releasever=2023.0.20230210
Release notes:
<https://docs.aws.amazon.com/linux/al2023/release-notes/relnotes.html**>
dnf update를 사용해도 yum update처럼 패키지를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셔야할 것 같아요.
3. 안정적인 장기 지원
AWS에서 Amazon Linux 시리즈는 표준 지원 2년 유지관리 지원 3년으로 장기적으로 AMI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Amazon Linux 2는 계획되었던 지원 종료일 2023-06-30에서 2년 연장되어 2025-06-30까지 총 4년 동안 표준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또한 표준 지원이 끝나도 3년동안의 유지관리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2028-06-30까지 중요보안, 패키지 업데이트를 수신받아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AL2023부터 Amazon Linux의 새로운 메이저 버전은 2년마다 릴리스되며 각 릴리스가 표준 지원(2년) 및 유지 관리(3년)로 구성된 5년의 장기 지원이 함께 제공됩니다.
4. EC2 최적화 커널 제공
Amazon Linux 2에는 최신 버전의 컴파일러 및 빌드 도구 체인과 Amazon EC2의 성능 향상을 위해 조정된 LTS 커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mazon Linux 2023은 커널 모듈 서명과 같은 보안 부팅 관련 기능 및 커널 잠금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포함해서 기본적으로 많은 강화 기능이 사용 설정되어 있습니다.
5. 원격 루트 접속 차단
Amazon Linux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원격 루트 접속을 차단해서 보안적인 이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어요.
ec2-user로 접속하려면 pem 키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보다 해킹 당할 위험이 줄어들겠죠?
그리고 ec2-user로 접속하게되면 sudo 명령어를 기본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root로 접속하지 않더라도 system 관련 명령어를 사용할 때 root 유저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하는 Amazon Linux 시리즈에 따라서 지원 범위가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하실 AMI마다 어떤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지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렇게 Amazon Linux 시리즈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평소에 centOS나 Ubuntu만 사용하셨다면 이번 기회에 Amazon Linux도 한번 경험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06.gif)
이상으로 뉴진쓰 팀의 큰뉴진이었습니다!
'CSP (Cloud Service Provid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igV4와 JWT (0) | 2023.08.18 |
---|---|
[AWS] AWS CodeArtifact (0) | 2023.08.18 |
[AWS] AWS EKS Node Drain (0) | 2023.08.17 |
[AWS] Secrets Manager을 통한 보안 인증 정보 설정 및 자동 교체 구성 (0) | 2023.08.16 |
AWS MYSQL Dump (0) | 2023.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