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쁜이와 멋쟁이의 "BTC_준호" 입니다.
오늘은 ALB에 EIP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73.png)
NLB는 고정 IP 기능을 지원하지만,
ALB는 기본적으로 고정 IP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2023년 8월 18일 기준)
NLB는 각 사용 가능한 영역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여 사용합니다. 이 IP 주소들은 변하지 않아서 방화벽의 허용 목록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NLB는 TCP 통신만을 지원하여 HTTPS 트래픽을 다루지 못하고, ALB의 7계층에 관한 기능도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에는 NLB 또는 ALB의 각각의 장점 중 하나만을 선택해야 했으며, 두 가지의 이점을 동시에 적용할 수는 없었습니다.
이제까지는 NLB 또는 ALB의 이점 중에 하나만을 선택해야 했으나 ALB에 EIP를 적용하여 두 가지 장점을 모두 가지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2가지가 있습니다.
1. Global Accelator 사용
2. ALB 앞단에 EIP 할당이 가능한 NLB 배치 (권장)
AWS Global Accelerator 방법보다 설정이 더 간편하고 비용 효율적인 NLB 사용 방식을 이번 시간에 서술하겠습니다.
ALB에 EIP를 적용하는 방법
결론부터 말하자면, ALB 앞단에 NLB를 배치하고, NLB에 EIP를 연결하여 고정 I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LB 생성 및 EIP 할당에 대한 자세한 과정을 아래에 작성해두었습니다.
1. Elastic IP(EIP) 생성
2. Network Load Balancer(NLB) 생성
![](https://blog.kakaocdn.net/dn/GX1o4/btsrDJjqize/kIBz8MqVj5pS6KxAviSwl1/img.png)
설정을 마친 후 "로드 밸런서 생성"을 클릭하여 NLB를 생성합니다.
3. ALB 앞단에 NLB 연결
![](https://blog.kakaocdn.net/dn/dHPvLk/btsrDJwWYTf/pAlJzpqNeESesEEcBZRV11/img.png)
4. 보안 그룹 설정
끝으로
해당방법은 정말 직접적으로 ALB에 EIP를 적용하는 것이 아닌 EIP가 적용된 NLB를 ALB 앞단에 두어 ALB에 EIP가 적용된 것 처럼(?)하는 방법입니다. 실제적으로 ALB에 EIP를 적용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습니다.(2023-08-18 기준)
또한 모든 트래픽은 두 개의 로드밸런서를 통과한다는 점과 ALB, NLB 두 로드밸런서에서 데이터 처리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는 점을 명심해야합니다.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알아보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언제든 질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SP (Cloud Service Provid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Autoscaling Refresh (0) | 2023.08.21 |
---|---|
[AWS] EIP 복원 (0) | 2023.08.21 |
AWS IAM과 리소스 기반 정책의 비교 (0) | 2023.08.18 |
[AWS] RDS snapshot 공유 (0) | 2023.08.18 |
AWS SigV4와 JWT (0) | 2023.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