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베하💙 누구든 탑승할 수 있는 유임승차 팀의 BTC 룰루랄라 입니다!!💨😉
저번 포스팅은 쿠버네티스 기능 중 하나인 Service에 대해서 설명 드렸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Kubernetes의 Service에 대해서 추가적인 기능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Service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능이므로 꼭 알아 두셔야 될 것 같아요!!
그럼 서비스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알아 보겠습니다~
룰루랄라~♬
Service(NodePort) 만들기
CluterIP는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외부(노드)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NodePort 서비스를 만들어봅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counter-np
spec:
type: NodePort
ports:
- port: 3000
protocol: TCP
nodePort: 31000
selector:
app: counter
tier: app
정의설명
spec.ports.nodePort | 노드에 오픈할 Port (미지정시 30000-32768 중에 자동 할당) |
counter app을 해당 노드의 31000으로 오픈합니다.
kubectl apply -f counter-nodeport.yml
# 서비스 상태 확인
kubectl get svc
실행 결과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counter-np NodePort 10.101.168.165 <none> 3000:31000/TCP 13s
kubernetes ClusterIP 10.96.0.1 <none> 443/TCP 3d19h
redis ClusterIP 10.103.50.102 <none> 6379/TCP 30m
minikube ip로 테스트 클러스터의 노드 IP를 구하고 31000으로 접근해봅니다.
curl 192.168.64.4:31000 # 또는 브라우저에서 접근
Docker
Docker driver를 사용중이라면 minikube service counter-np 명령어를 이용하여 접속하세요.
NodePort는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 포트를 오픈합니다. 지금은 테스트라서 하나의 노드밖에 없지만 여러 개의 노드가 있다면 아무 노드로 접근해도 지정한 Pod으로 쏘옥 접근할 수 있습니다.
NodePort와 ClusterIP
NodePort는 CluterIP의 기능을 기본으로 포함합니다.
#Service(LoadBalancer) 만들기
NodePort의 단점은 노드가 사라졌을 때 자동으로 다른 노드를 통해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3개의 노드가 있다면 3개 중에 아무 노드로 접근해도 NodePort로 연결할 수 있지만 어떤 노드가 살아 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자동으로 살아 있는 노드에 접근하기 위해 모든 노드를 바라보는 Load Balancer가 필요합니다. 브라우저는 NodePort에 직접 요청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Load Balancer에 요청하고 Load Balancer가 알아서 살아 있는 노드에 접근하면 NodePort의 단점을 없앨 수 있습니다.
Load Balancer를 생성해 봅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counter-lb
spec:
type: LoadBalancer
ports:
- port: 30000
targetPort: 3000
protocol: TCP
selector:
app: counter
tier: app
kubectl apply -f counter-lb.yml
실행 결과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counter-lb LoadBalancer 10.109.133.129 <pending> 30000:31535/TCP 9s
counter-np NodePort 10.101.168.165 <none> 3000:31000/TCP 34m
kubernetes ClusterIP 10.96.0.1 <none> 443/TCP 3d20h
redis ClusterIP 10.103.50.102 <none> 6379/TCP 65m
counter-lb가 생성되었지만, EXTERNAL-IP가 <pending>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실 Load Balancer는 AWS, Google Cloud, Azure 같은 클라우드 환경이 아니면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특정 서버(노드)를 가리키는 무언가(Load Balancer)가 필요한데 이런 무언가가 가상머신이나 로컬 서버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minikube에 가상 LoadBalancer 만들기
Load Balancer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가상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MetalLB라는 것입니다. minikube에서는 현재 떠 있는 노드를 Load Balancer로 설정합니다. minikube의 addons 명령어로 활성화합니다.
minikube addons enable metallb
그리고 minikube ip명령어로 확인한 IP를 ConfigMap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minikube를 이용하여 손쉽게 metallb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minikube addons configure metallb
-- Enter Load Balancer Start IP: # minikube ip 결과값 입력
-- Enter Load Balancer End IP: # minikube ip 결과값 입력
▪ Using image metallb/speaker:v0.9.6
▪ Using image metallb/controller:v0.9.6
✅ metallb was successfully configured
minikube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ConfigMap을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space: metallb-system
name: config
data:
config: |
address-pools:
- name: default
protocol: layer2
addresses:
- 192.168.64.4/32 # minikube ip
kubectl apply -f metallb-cm.yml
# 다시 서비스 확인
kubectl get svc
실행 결과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counter-lb LoadBalancer 10.109.133.129 192.168.64.4 30000:31535/TCP 1m
counter-np NodePort 10.101.168.165 <none> 3000:31000/TCP 35m
kubernetes ClusterIP 10.96.0.1 <none> 443/TCP 3d20h
redis ClusterIP 10.103.50.102 <none> 6379/TCP 66m
이제 192.168.64.4:30000으로 접근해봅니다.
Docker
Docker driver를 사용중이라면 minikube service counter-lb 명령어를 이용하여 접속하세요.
LoadBalancer와 NodePort
LoadBalancer는 NodePort의 기능을 기본으로 포함합니다.
#마무리
서비스는 로우레벨low level 수준의 네트워크를 이해하고 성능, 보안 이슈를 신경 써야 합니다. 파고들면 한없이 복잡하고 어려운 부분으로 일단 그렇구나.. 하고 넘어갑니다. 😭
실전에선 NodePort와 LoadBalancer를 제한적으로 사용합니다. 보통 웹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80 또는 443 포트를 사용하고 하나의 포트에서 여러 개의 서비스를 도메인이나 경로에 따라 다르게 연결하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뒤에 Ingress에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INFRA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containerd 란 (0) | 2022.06.16 |
---|---|
[Docker] Docker Engine 설치 실습 (0) | 2022.06.14 |
IaC 별 역할과 Terraform, Ansible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2.06.10 |
[K8S] 배포전략 (0) | 2022.06.09 |
[Docker] Container 개요 (0) | 2022.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