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KNOWLEDGE

인프라 엔지니어 관점에서 바라보는 네트워크 장비 (2) [스위치]

by 이지은_99 2022. 6. 16.

안녕하세요 !! BTC_막내가 최고야 팀입니다!

요번주 차시는 인프라 엔지니어 관점에서 바라보는 L2,L3 장비 [ 스위치 ]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2,L3 라고하는것은 OSI 7계층의 Layer 2 DataLink , Layer 3 Network 계층이라는 뜻을 가지고있는데요

 

그럼 L2, L3에서 쓰이는 장비는 주로 스위치라는 장비를 사용합니다.

L2 장비

스위치

스위치의 역할을 간단하게 알아보자면

 - L2 스위치에 프레임이 들어옴

 - 스위치는 목적지 MAC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프레임 전송

 - 목적지 MAC 주소가 없을 경우 LAN 전체에 브로드캐스트하여 응답이 있는 포트로 프레임 전달

요약 프레임 전달

 

L3

라우터 기능이 추가된 스위칭 허브입니다!

L3

 

라우터 기능이 추가된 스위칭허브의  기능을 간단히 보면

  - 네트워크상 흘러가는 패킷이 들어오면 L3 스위치는 목적지 IP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패킷을 전송

 - 스위치 내 적힌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하는 IP 주소 혹은 네트워크 주소가 없을 때는 기본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포트로  전송

 

 

그럼 인프라 엔지니어 관점에서 L2, L3 장비 선택 요령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 인터페이스 속도와 포트 수
    • 우선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인터페이스 속도와 포트 수를 확보할 수 있는지 확인
  • 지능형 또는 비 지능형
    • 지능형: 웹 접속 혹은 텔넷 접속으로 포트 설정을 변경하거나 스위치의 상태 및 통신량 확인 가능
    • 비지능형: 서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만 함
  • 스위칭 능력과 스위칭  용량
    • 스위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대량의 통신을 빠짐 없이 빠르게 전송하는것
      • 스위칭 능력: 스위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 PPS ]
        • PPS: Packet Per Second 1초당 패킷 처리량
      • 스위칭 용량: 동시에 스위칭할 수 있는 양의 단위 [ BPS ]
        • BPS: Bit Per Second 1초에 어느정도 바이트 수를 처리
      • 와이더 스피드와 논 블로킹
        • 스위치에 탑재된 각 포트에 이론상 최대 통신량이 발생하는 상태를 와이어 스피드 라고함
      • 하드웨어 처리와 소프트웨어 처리
        •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ASIC라고 불리는 전용칩을 사용하는 하드웨어 처리인지
        • 소프트웨어 처리로서 CPU를 사용하는 처리인지 구분할 필요가 존재
        • 통신량이 소규모일경우는 상관없지만 대규모일경우
          • 소프트웨어 방식: CPU사용률이 올라가서 스위칭 능력에 영향을 주기도 함
      • L4, L7 스위치를 선택
        • 로드밸런서 기능이 담겨져있는 L4 L7 스위치를 사용
        • 부하 분산할 서버가 있는경우 상태검사를 하기때문에 L3 장비보단 L4,L7 장비를 선택하는것도 좋은 방법

 

 

L2,L3 인프라 엔지니어 관점의 장비 선택 가이드를 보았는데요 !

다음주에 또 뵙겠습니다!!

책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 지은이 : 사노 유타카) 참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