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KNOWLEDGE

인프라 엔지니어 관점에서 바라봐야할 자원 - 스토리지

by 이지은_99 2022. 7. 11.

안녕하세요~

BTC_막내가 최고야팀입니다.

요번주는 시스템의 저장소 스토리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토리지는 다양한 방법, 방향으로 계속 진화하고있다.
1. 스토리지의 대 용량화
2. 스토리지의 고속화.
3. 스토리지의 고도화: 씬 프로비저닝, 자동 계층화, 중복 제거 등

스토리지는 흔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말하는데요

계층별로 따지면

  • 서버 내부 저장 영역: 로컬 스토리지
  • 서버 외부 저장 영역인 외부 스토리지

이렇게 두 영역이 존재합니다.

영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로컬 스토리지

  • 서버 내부에 디스크를 설치해서 이용하는 저장 영역
  • 외부 스토리지를 사용하지 앟음으로 설치 공간 절약 장점
  • 외부 스토리지를 이용할 때와 비교하면 설치 할 수 있는 디스크 개수와 확장성이 적어짐

 

외부 스토리지

  • 서버 외부에 준비한 스토리지 장비 혹은 스토리지 영역을 뜻함
  • 외부 스토리지를 3가지 영역으로 세분화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Direct Attached Storage
      •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스토리지 장비
      • RAID 컨트롤러 보드를 꽂아 연결하는 형태와 HBA 보드를 꽂아 연결하는 형태가 있음
      • DAS는 로컬스토리지만으로 용량이 부족할때 필요한 만큼 디스크 용량을 늘릴 수 있다.
       

DAS

  • 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대의 서버가 액세스할 수 있는 스토리지
    • NFS, SMB/CIFS, AFP 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
    • 여러 대의 서버에서 발생하는 백업 및 로그 파일을 한 군데에 모으는 용도로 사용
  • Storage Aread Network
    • 블록 단위 데이터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
    • 고품질 환경을 요구하는 환경에서 이용
    • FC-SAN과 IP-SAN이 존재
      • FC-SAN
        • 파이버 채널 기반으로 구축된 고속, 고품질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
        • 기간계 데이터베이스 등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환경에서 이용
      • IP-SAN
        • 고속 고품질 통신을 가능하게 하지만 가격이 매우 비쌈
        • 통신 부분에 이더넷을 이용하여 SAN보다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음

 

이상으로 스토리지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장마 다들 화이팅..

다들 다음주에 뵈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