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AWS EBS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 첫 번째로 AWS EBS에 대한 개념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WS EBS (Elastic Block Storage)
EBS란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가상 저장 장치입니다.
EBS의 특징으로는
1. 하나의 인스턴스에 연결한 EBS 볼륨을 분리해서 다른 인스턴스에 연결이 가능합니다.
2. 단 몇 분 내에 사용량을 확장할 수 있으며, 프로비저닝한 부분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3. EBS는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영구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합니다.
<=> 이에 상반되는 인스턴스 스토어는 인스턴스 중지, 종료 시 데이터가 보존되지 않습니다.
주의 사항은 EC2와 같은 AZ(Availablity Zone)에 있어야 합니다.
3. 하나의 EBS에 여러 개의 EC2를 붙이는 것이 가능합니다.(Multi Attach) => IO1, IO2만 가능하다.
4. 여러 개의 EBS를 하나의 EC2에 붙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Multi Attach) => IO1, IO2 뿐만 아니라 GP2,GP3 도 가능하다.
EBS 볼륨 유형
- 범용 SSD
- 프로비저닝 된 IOPS SSD
- Throughput optimized HDD
- 콜드 HDD
- 마그네틱 볼륨
다섯 가지의 볼륨 유형이 있지만, 자주 사용되는 범용 SSD와 IOPS SSD 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는 마이그레이션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마이그레이션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콘솔을 통한 마이그레이션
2. AWS CLI를 통한 마이그레이션
첫 번째 콘솔을 통해서 GP2에서 GP3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P2 -> GP3 마이그레이션 결과입니다.
두 번째 콘솔을 이용하여 GP2에서 IO1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마이그레이션 결과입니다.(GP2 -> IO1)
마지막으로 AWS CLI를 통해 명령어를 사용하여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P2 -> GP3)
이상으로 EBS 볼륨 비교와 마이그레이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CSP (Cloud Service Provid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에 EBS 볼륨 증설하기 (0) | 2022.08.26 |
---|---|
[AWS] CLB (0) | 2022.08.26 |
[AWS] Amazon EC2와 Amazon Lightsail의 차이점 (0) | 2022.08.21 |
[AWS] CodeDeploy (0) | 2022.08.21 |
[AWS] Load Balancer - 2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