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씨가문의 영광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Azure 3편! 을 시작해보도록하겠습니다~ 고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71.png)
Public ip
azurerm_public_ip는 Public ip 주소를 관리합니다.
resource "azurerm_public_ip" "example" {
name = "acceptanceTestPublicIp1"
resource_group_name = azurerm_resource_group.example.name
location = azurerm_resource_group.example.location
allocation_method = "Static"
tags = {
environment = "Production"
}
}
"azurerm_public_ip" 블록에서 사용되는 인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필수 >
- name : 공용 IP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 공용 IP가 생성됩니다.
- resource_group_name : 공개 IP가 위치하고 있는 리소스 그룹의 이름입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로운 공용 IP가 생성됩니다.
- location : 공용 IP가 있어야 하는 지원되는 Azure 위치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면 Korea Central과 같은 한국중부를 의미합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 리소스가 지원됩니다.
- allocation_method : IP 주소에 대한 할당 방법을 정의합니다. 가능한 값은 Static(고정) 또는 Dynamic(동적) 입니다.
< 선택 사항 >
- zones : 공용 IP를 할당할 가용성 영역이 포함된 컬렉션입니다.
가용 영역은 현재 표준 SKU 및 일부 지역 에서만 지원됩니다. 영역을 지정하지 않는 표준 SKU 공용 IP주소는 기본적으로 영역이 중복되지 않습니다.
- domain_name_label : 도메인 이름에 대한 레이블입니다. FQDN을 구성하는데 사용됩니다. 도메인 이름 레이블이 지정되면 Microsoft Azure DNS 시스템의 공용 IP에 대해 A DNS 레코드가 생성됩니다.
- edge_zone : 공용 IP가 위치하고 있는 Azure 지역 내의 edge zone을 지정합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 공용 IP가 생성됩니다.
- ip_version : 사용할 IP 버전, IPv6 또는 IPv4 을 사용합니다.
- sku : 공개 IP의 SKU입니다. 사용되는 값은 Basic 및 Standard 입니다. 기본값은 Basic으로 사용됩니다.
- sku_tier : 공용 IP에 사용해야 하는 SKU 계층입니다. 사용되는 값은 Regional 및 Global 입니다. 기본값은 Regional 입니다.
만약 sku_tier을 Global로 설정한다면, sku는 Standard로 세팅해줘야만 합니다.
- tags : 리소스에 할당할 태그 매핑입니다.
Network Interface
resource "azurerm_network_interface" "example" {
name = "example-nic"
location = azurerm_resource_group.example.location
resource_group_name = azurerm_resource_group.example.name
ip_configuration {
name = "internal"
subnet_id = azurerm_subnet.example.id
private_ip_address_allocation = "Dynamic"
}
}
"azurerm_network_interface" 블록에 사용되는 인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필수 >
- name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입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 리소스가 생성됩니다.
- location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어야하는 위치를 말합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 리소스가 생성됩니다.
- resource_group_name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리소스 그룹의 이름입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 리소스가 생성됩니다.
< 선택 사항 >
- dns_servers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사용해야 하는 DNS 서버를 정의하는 IP 주소 목록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DNS 서버를 구성하면 가상 네트워크에 정의된 DNS 서버가 재정의됩니다.
- edge_zone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하는 Azure 지역 내의 edge zone을 지정합니다. 이를 변경하면 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생성됩니다.
- enable_ip_forwarding : IP 포워딩을 활성화할것인지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false 입니다.
- enable_accelerated_networking : 가속 네트워킹을 활성화할것인지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false입니다.
가속 네트워킹에는 특정 가상 머신 크기만 지원됩니다. 또한 가용성 집합에서 가속 네트워킹을 사용하려면 가용성 집합을 가속 네트워킹 사용 클러스터에 배포해야 합니다.
- internal_dns_name_label : 동일한 가상 네트워크에 있는 가상머신 간의 내부 통신에 사용되는 (관계있는) DNS 이름입니다.
- tags : 리소스에 할당할 태그 매핑입니다.
이번에는 ip_configuration {} 블록에 사용되는 인수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필수 >
- name : 이 IP 구성에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 private_ip_address_allocation : Private IP Address에 사용되는 할당방식입니다. 사용되는 값은 Dynamic 및 Static 입니다.
Dynamic 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동안 IP가 자동으로 할당되는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Static은 "사용자가 제공한 IP 주소가 사용되는것" 을 의미합니다.
< 선택 사항 >
- gateway_load_balancer_fronted_ip_configurtaion_id : 게이트웨이 SKU 로드 밸런서의 프런트엔드 IP 구성 ID입니다.
- subnet_id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하는 서브넷의 ID입니다.
- private_ip_address_version : 사용할 IP 버전입니다. 가능한 값은 IPv4 또는 IPv6 입니다. 기본값은 IPv4 입니다.
- public_ip_address_id : 이 NIC와 연결할 공용 IP 주소에 대한 참조를 뜻합니다.
- primary : 이것이 기본 IP 구성인지를 의미합니다. 여러 개가 지정되는 경우 첫 번째 ip_configuration에 대해서는 true여야 합니다. 기본값은 false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선택사항 인수들이 있지만 지금까지 다뤄본것은 많이 사용되는 인수들과 필수적인 인수를 다루어보았습니다. 다음편에서는 VM 배포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니 많이 봐주세요
그럼 다음주에 뵈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57.png)
'INFRA > Ope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이론 STEP9 Controller&Rolling Update (0) | 2022.09.14 |
---|---|
Terraform 리소스에 대한 이해 - Azure 4편 (0) | 2022.09.06 |
쿠버네티스 이론 STEP8 RBAC (0) | 2022.08.29 |
Terraform 리소스에 대한 이해 - Azure 2편 (0) | 2022.08.23 |
쿠버네티스 이론 STEP7 PV, PVC (1) | 2022.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