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햄스터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MAP의 SOW 작성 요령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SOW 작성 이 후 작성해야하는 Assess Analysis Report라는 것을 작성을 해볼 겁니다.
근데 이 문서를 작성하기 앞서 반듯이 사전 진행해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TCO 계삽입니다. 뭐 쉽게 생각 하면 이번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얼마나 비용이 감소되고 AWS에서 얼마를 사용하게 될지 관련 정보를 제공을 해줘야하는 것입니다.
TCO는 오른쪽에 보이는 사진과 같이 전체 비용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MPA를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MPA를 통해 TCO를 계산해보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https://mpa.accelerate.amazonaws.com/
Portfolio Assessment Tool
mpa.accelerate.amazonaws.com
해당 페이지를 통해 MPA를 위한 페이지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MPA는 전체적인 작동 방식은 On-Premise환경의 장비 스팩을 Excel 파일 형태로 업로드하면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TCO 및 Migration을 위한 비용을 On-Premise 환경과 비교를 해주는 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해 줍니다.
물론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여러 세부 설정들을 설정해야하지만 이번에는 기본적인 설정 방법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이미지들는 제가 사용한 발표 자료에서 가져왔습니다
MPA를 작성 시 다음과 같이 총 7개의 Excel 파일을 통해 MPA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서버 / Application / Database 에대한 상세 스팩을 적게 됩니다.
그다음 각 스팩의 의존 관계 및 어떻게 서로 연동이 되고 작동이 되는지를 작성하는 4개의 파일을 작성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에 5개의 자료를 작성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외에 대한 정보는 고객사와의 협의와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그럼 Sample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 DB, APP 모두 각각의 고유 ID가 있고 이 ID 이름을 기준으로 서로 Mapping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Server에는 DB를 포함한 모든 서버에 대한 내용이 들어가고 그중 DB는 추가적으로 DB 엑셀에 Server ID를 통해 Mapping을 시켜주는 모습입니다.
Application과 같은 경우는 server 와 연동되는 Application을 server to application이나 databse to application을 통해 Mapping이 진행됩니다.
이렇게 작성된 Excel 파일을 MPA 환경에 업로드를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Assets에 대한 Dashboards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Assets를 바탕으로 이제 TCO를 계산 할 수있습니다. 위의 이미지 왼쪽 선택 창에 보면 위에서부터
Portpolio data / import / collect / TCO / AWS 가 보일거고 여기서 TCO를 들어가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Calculate라는 주황색 버튼 옆에 Modify assumtions라는 버튼을 볼 수 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설정 화면이 나오는데 해당 설정을 통해 좀더 세부적인 TCO 계산이 가능하다
이중에 필수적으로 봐야하는 설정들마 집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설정 중 해당 설정들은 반드시 한번씩 확인 후 TCO 계산을 할 수 있도록 하자
리전 및 3년 계약인지 5년 계약인지 - General 에서 설정하고
서버 장비 마이그레이션 기준을 On-premise와 같은 사이즈 / 편균 사용량 / 최대 사용량 기준으로 할지 설정을 해주고
AWS database recommendation에서 Enable RDS Recommendations를 체크 여부를 결정하여 RDS를 사용할지 안할지 결정해준다 - 해당 설정을 끄게되면 TCO에서 Database에대한 TCO는 서버로 넘어가게 된다. (설치형 DB로 계산한다고 생각하변 된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기분으로 Assess Analysis Report를 작성하면 된다.
해당 작성 요령은 다른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CSP (Cloud Service Provid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W 작성 요령 - 1 (0) | 2022.10.21 |
---|---|
API와 API Gateway(2) (0) | 2022.10.20 |
[AWS] RDS-실습 (0) | 2022.10.14 |
AWS Scheduled Instance Event (0) | 2022.10.14 |
AWS Resource Access Manager (0) | 2022.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