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백본(Backbone), 백본망이란?

by BTC_PIKA 2022. 10. 27.

1. 백본의 정의

- 여러 소형 네트워크를 묶어 대규모 파이프라인을 통해 극도로 높은 대역폭으로 다른 네트워크들의 집합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백본망 또는 기간망이라고 한다.

 

2. 백본의 특징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경로 제공

- 사무실, 캠퍼스 또는 건물에서 서로 다른 LAN을 연결 가능

- 여러 개의 LAN이 상당한 영역을 통해 상호 연결 되는 경우, 전체 도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WAN(Wide Area Network) 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가 발생

- 일반적으로 광섬유 또는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된 네트워크 라우터 및 스위치로 구성,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대규모 조직의 네트워크가 백본에 연결하여 간접적으로 액세스 함

 

3. 백본의 구성

- 광 케이블 + WDM + 케리어 라우팅 시스템 + 백본 스위치 + 상호 접속기 + 워크그룹 스위치로 구성된다.

  • 광 케이블
    현재 인터페이스는 광 케이블당 100Gbps 를 전송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파장으로 변환하여 두가닥의 광케이블에 약 80개의 파장을 실을 수 있다. 즉 두개의 광케이블에 어마어마한 용량의 데이터가 오가고 있는 것.
  •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이라고 불리우며, 위에서 설명한 파장변환+두가닥의 광케이블에 채널을 넣어주는 장비. 거리에 따라 CWDM, DWDM으로 나뉜다. WDM을 비롯한 MSPP, PTN, ROADM, OTN같은 장비군을 광네트워크라 한다.
  • 캐리어 라우팅 시스템
    하나의 그룹 내에서 여러개의 백본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모두 통합하여 연결하는 데 쓰인다. 보통의 라우터와 달리 매우 크고 인터페이스 유닛이 많다. 그리고 이런 라우터 사이에도 파이프라인이 존재해 라우터끼리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는다. 그 외에 여기서 특정 IP 혹은 프로토콜을 필터링할 수도 있다. 캐리어 라우터는 CPU 를 슬롯 형식으로 추가할 수 있으므로 성능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 백본 스위치: 크룹내의 연결을 분배하는 데 쓰인다.
  • 상호 접속기: 다른 그룹의 백본과 연결하기 위해 쓰인다. 특수한 라우터가 백본 사이에 몰려있다.
  • 워크그룹 스위치: 일반적으로 우리가 쓰는 인터넷 망을 뽑아주는 기계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 SSL 인증서 및 복호화, 암호화  (0) 2022.12.19
DNS 레코드  (0) 2022.11.29
[Network]CDN  (0) 2022.10.27
[Network] IDS란  (0) 2022.10.18
[Network] IPS란  (0) 2022.10.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