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씨가문의 영광입니다!
지난번까지 Terraform GCP Provider 및 기본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GCP의 subnetwork와 address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Don't have a good day, Have a great day!
▶ 목차
1. google_compute_subnetwork
resource "google_compute_subnetwork" "network-with-private-secondary-ip-ranges" {
name = "test-subnetwork"
ip_cidr_range = "10.2.0.0/16"
region = "us-central1"
network = google_compute_network.custom-test.id
secondary_ip_range {
range_name = "tf-test-secondary-range-update1"
ip_cidr_range = "192.168.10.0/24"
}
}
resource "google_compute_network" "custom-test" {
name = "test-network"
auto_create_subnetworks = false
}
필수 | 설명 | 옵션 | 설명 |
ip_cidr_range | 네트워크가 소유한 내부 주소의 범위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10.0.0.0/8, 192.168.0.0/16입니다. |
description | 현재 자원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
purpose | 리소스의 목적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 ||
name | 리소스를 처음 생성할 때 클라이언트가 제공한 리소스의 이름입니다. | role | 네트워크 역할, Active 하위 네트워크는 현재 내부 HTTP(S) 부하 분산에 사용중인 하위 네트워크입니다. |
secondary_ip_range | 네트워크에 포함된 VM 인스턴스의 보조 IP 범위에 대한 구성입니다. | ||
network | 현재 서브넷이 속한 네트워크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 private_ip_google_access | 사용하도록 설정하면 외부 IP 주소가 없는 이 하위 네트워크의 VM이 비공개 Google 액세스를 사용하여 Google API 및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region | GCP 지역을 입력합니다. |
2. google_compute_address
resource "google_compute_network" "default" {
name = "my-network"
}
resource "google_compute_subnetwork" "default" {
name = "my-subnet"
ip_cidr_range = "10.0.0.0/16"
region = "us-central1"
network = google_compute_network.default.id
}
resource "google_compute_address" "internal_with_subnet_and_address" {
name = "my-internal-address"
subnetwork = google_compute_subnetwork.default.id
address_type = "INTERNAL"
address = "10.0.42.42"
region = "us-central1"
}
필수 | 설명 | 옵션 | 설명 |
name | 리소스의 이름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 address | 리소스가 나타내는 고정 외부 IP 주소입니다. |
address_type | 예약할 주소 유형입니다. 기본값은 EXTERNAL입니다. | ||
purpose | 리소스의 목적을 입력하는 곳으로, VM 인스턴스, 별칭 IP 범위, 내부 부하 분산기 및 유사한 리소스에서 사용하는 주소의 경우 GCE_ENDPOINT입니다. |
||
network_tier | 주소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킹 계층입니다. | ||
subnetwork | 주소를 예약할 하위 네트워크 URL입니다. | ||
labels | 이 주소에 적용할 레이블값입니다. | ||
network | 주소를 예약할 네트워크의 URL입니다. |
이렇게 Terraform 기반 GCP를 다뤄보았는데요!
네트워크 구성은 필수적으로 사용되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NFRA > Ope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raform data 구문 (0) | 2022.11.09 |
---|---|
terraform init, plan, apply 그리고 state file 알아보기 (0) | 2022.11.04 |
Terraform 리소스의 개념 이해 - GCP 1편 (0) | 2022.10.29 |
terraform 여러 버전 사용하기(2) 리눅스 (0) | 2022.10.28 |
Terraform 리소스의 개념 이해 - AWS 4편 (0) | 2022.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