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도메인 사용하기 도메인 네임으로서 가장 유명하고 많이들 쓰이는 .com, .net은 1년에 13000원, .kr은 1년에 9000원 정도로 꽤나 저렴한 편에 속한다. 그렇지만 단순히 공부 및 테스트 용도로서 도
다음과 같이 무료 DNS를 얻었으면, 이제 AWS Route 53 페이지로 돌아오자.
그리고 좌측 사이드바 메뉴에서 호스팅 영역을 클릭하고 생성을 한다.
1.호스팅 영역 생성하기 (발급한 도메인을 Route53에 등록)
호스팅 영역이란 레코드의 컨테이너이며, 레코드에는 특정 도메인(예: example.com)과 그 하위 도메인(acme.example.com, zenith.example.com)의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방식에 대한 레코드들의 정보를 모아놓은 곳이다.
호스팅 영역의 유형은 두 가지가 있다.
퍼블릭 호스팅 영역은 인터넷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자 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레코드를 포함한다. 한마디로 우리가 브라우저에 도메인으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도메인을 말하는 것이다.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은 Amazon VPC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자 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레코드를 포함한다. Route 53을 이용하여 지정한 VPC에서 요청한 DNS 쿼리 응답을 반환하는 일종의 컨테이너라고 보며 된다. 한마디로 VPC 내 AWS 서비스들의 사설 IP대신 도메인으로 이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영역이다.
2.NameServer 등록하기
생성된 호스팅 영역에는 다음과 같이 NS와 SOA 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있다.
Info
NS 네임서버 레코드로 도메인에 대한 네임서버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는 레코드 예를 들어 naver.com의 NS레코드는 e-ns.naver.com, ns1.naver.com, ns2.naver.com 이다.
SOA 도메인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레코드. naver의 경우 ns1.naver.com webmaster.naver.com 2021012809 21600 1800 1209600 180 이렇게 보여주고 있는데, 각각 마스터 네임서버, 존 관리자 연락처, 존 데이터 동기화 시간, 갱신주기, 시도, 만료 등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NS에 해당하는 도메인의 Value 값 4개를 freenom 도메인 설정에 적어준다.
NameServer의 경우,호스팅업체의네임서버를 사용해도 되지만 특별하지 않으면AWS네임서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