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RA/Operation

Terraform 리소스의 개념 이해 - GCP 6편

by BTC_Dana 2022. 11. 29.
안녕하세요! 하씨가문의 영광입니다!
이번에는 firewall와 image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google_compute_firewall
  2. google_compute_image

 

 

1. google_compute_firewall

 

resource "google_compute_firewall" "default" {
  name    = "test-firewall"
  network = google_compute_network.default.name

  allow {
    protocol = "icmp"
  }

  allow {
    protocol = "tcp"
    ports    = ["80", "8080", "1000-2000"]
  }

  source_tags = ["web"]
}

 

필수 설명 옵션 설명
name 리소스의 이름입니다. allow 이 방화벽에서 지정한 허용 규칙 목록입니다.
network 방화벽을 연결할 네트워크의 이름 또는 self_link입니다. deny 방화벽에서 지정한 거부 규칙 목록입니다.
description 리소스의 설명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2. google_compute_image

 

resource "google_compute_image" "example" {
  name = "example-image"

  raw_disk {
    source = "https://storage.googleapis.com/bosh-gce-raw-stemcells/bosh-stemcell-97.98-google-kvm-ubuntu-xenial-go_agent-raw-1557960142.tar.gz"
  }
}

 

필수 설명 옵션 설명
name 이미지의 이름입니다. description 리소스를 설명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disk_size_gb 영구 디스크에 복원될 때 이미지의 크기(GB)
labels 이미지에 적용할 레이블입니다.

 

이렇게 Terraform 기반 GCP를 다뤄보았는데요!
방화벽과 이미지는 자주 사용되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NFRA > Ope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raform import 알아보기 #2  (0) 2022.12.01
terraform import 알아보기 #1  (0) 2022.11.30
Terraform 리소스의 개념 이해 - GCP 4편  (0) 2022.11.29
Terraform 리소스의 개념 이해 - GCP 3편  (0) 2022.11.10
terraform data 구문  (0) 2022.1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