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그레이션 절차 요약
1. CDN 3.0 서비스 생성
2. CDN 3.0 서비스 테스트
3. 트래픽 이관 (CDN 2.0 → CDN 3.0)
4. 결과 확인, CDN 2.0 서비스 삭제
![](https://blog.kakaocdn.net/dn/bFyxc3/btrUDiM1tsh/fTVPy4nFQqtEeTLYMarOC1/img.png)
주의 사항
- 트래픽 마이그레이션 전, 반드시 사용자 환경에서 충분한 테스트를 하시기 바랍니다.
- CDN에 위임된 서비스도메인의 네임서버가 여러 개 또는 여러 회사일 경우, 빠짐없이 적용하셔야 합니다.
- 오리진 환경에 보안장비가 있어 cdn ip를 허용처리 하고 계시다면, 변경되는 cdn ip 도 허용 조치 하셔야 합니다. (cdn 3.0 edge ip : 183.110.28.0/24, 183.111.45.0/24)
- cdn 3.0으로 트래픽 이관 후 문제가 없다면, 적절한 시점에 2.0 서비스는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1. CDN 3.0 서비스 생성
1) 유형 선택: 콘텐츠 성격에 맞게 유형을 선택합니다.
- 다운로드(이미지, 문서, 설치 파일 등), 스트리밍 (MP4 등 동영상 콘텐츠)
주의 사항
- CDN 3.0 스트리밍은 HLS, DASH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RTMP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2) 고객도메인 : CDN 2.0 설정의 고객도메인을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주의 사항
- 만약 cdn 도메인을 직접 사용하실 경우, cdn 도메인이 변경되므로 client에 노출되는 cdn도메인 하위 경로의 콘텐츠들은 도메인을 변경하셔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Nd4L/btrUzmoTvn7/ox7PSKkvo7WV5YKqO8IS6k/img.png)
3) 오리진 설정 : CDN 2.0에 설정하신 오리진 주소를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오리진 도메인주소 또는 Cloud Storage 파일박스명 선택)
![](https://blog.kakaocdn.net/dn/ceuKtu/btrUCjE74Ao/zTr0o4mDuyHSaYx0M7DXu0/img.png)
4) 기타 설정은 특이사항 없을 경우 디폴트 설정을 사용합니다.
2. CDN 3.0 서비스 테스트
기기의 hosts 파일을 변조하여 테스트합니다.
주의 사항
- 만약 CDN 도메인을 직접 사용하는 경우 spoofing test는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 콘텐츠 주소(URL)의 도메인만 변경하여 테스트하면 됩니다.
1) CDN 서비스 생성 후, 생성한 CDN 도메인을 확인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qwyW/btrUzmoTvms/Vpeu5zzlUQ2zAKVrOJKcD0/img.png)
2) DNS 쿼리를 통해 CDN 도메인이 응답하는 IP를 확인합니다.
> nslookup xxx-xxx.ktcdn.co.kr (windows)
> dig xxx-xxx.ktcdn.co.kr (linux)
예시
![](https://blog.kakaocdn.net/dn/bg9Ggs/btrUHNlbbrO/YQk6CDcHkAmxilZkWl9kjK/img.png)
3) 테스트 기기의 hosts 파일에서 CDN에 위임할 hostname을 CDN 3.0 IP와 매핑함으로써, 실제 DNS record 변경 전에 테스트 기기에서 미리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 합니다.
* PC내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연 후 hosts 파일 수정 (위에서 확인한 CDN IP와 고객 도메인을 나란히 입력)
예시
![](https://blog.kakaocdn.net/dn/b8ks0Z/btrUI0El8T2/VOdKvBOXYg3kFP8suYfBU1/img.png)
* 정상 적용 여부 확인 : ping 도메인 결과 spoofing한 ip가 응답하는지 확인
![](https://blog.kakaocdn.net/dn/vF86w/btrUyCFhQQw/OVhkUUAKswzL419tuC22c1/img.png)
* hosts 파일 위치
- On Windows, the host file is :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 On Mac, the host file is : /etc/hosts
주의 사항
- 테스트 후에는 반드시 hosts 파일의 해당 줄을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4) client(사용자)와 동일한 환경에서 hostname 하위 콘텐츠들이 노출된 페이지를 확인합니다.
- hosts파일에 매핑한 cdn 3.0 IP에서 콘텐츠가 정상 응답하는지 확인 (크롬 요소검사 활용)
예시
![](https://blog.kakaocdn.net/dn/dU6C12/btrUE4HLsWs/v46lIxKGS7taOfo5hP6DN0/img.png)
3. 트래픽 이관 (CDN 2.0 → CDN 3.0)
주의 사항
-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여 최번시를 피하고, 적용 전후 모니터링 준비를 합니다.
- 서로 다른 회사에 각각 1차, 2차 DNS를 사용한다면, 빠짐없이 적용 합니다.
- 새로운 cdn 서버들은 오리진으로부터 콘텐츠를 새롭게 fetch해야 하기 때문에, 오리진 트래픽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만약을 대비하여 유사시 기존 2.0으로 원복 할 준비를 합니다.
1) 고객 도메인이 등록된 DNS에서 cname record의 목적지를 기존 2.0 cdn도메인에서 3.0 cdn 도메인으로 변경합니다.
(기존) image.customer.com cname xxx-xxx.ktics.co.kr (cdn 2.0 도메인)
(변경) image.customer.com cname xxx-xxx.ktcdn.co.kr (cdn 3.0 도메인)
2) 만약 cdn 도메인을 직접 사용 시 웹에 노출된 기존 CDN 도메인을 모두 새 CDN 도메인으로 변경합니다.
4. 결과 확인
- 1) client 환경에서 서비스를 테스트 합니다. (앞서 추가한 hosts파일 내용은 반드시 삭제합니다.)
- 2) cdn 2.0과 3.0의 트래픽 정보를 확인 합니다. (DNS에도 TTL이 있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트래픽이 이동합니다.)
- 3) 만약을 대비해 일정 기간 cdn 2.0 서비스를 유지한 후 서비스를 삭제합니다.
- 4) 트래픽 이관 후 이상 징후 발견 시 TechCenter에 연락 하고, 유사시 3.의 트래픽 이관을 원복합니다.
출처 : https://cloud.kt.com/portal/user-guide/CDN-cdnstandard-migration
'CSP (Cloud Service Provider) > KT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Cloud] Enterprise Security 상품 개요 (1) | 2022.12.27 |
---|---|
[KT Cloud] CDN Global 상품 개요 (0) | 2022.12.27 |
[KT Cloud] CDN Global 기능 (0) | 2022.12.27 |
[KT Cloud] CDN Standard 3.0 기능 (0) | 2022.12.27 |
[KT Cloud] CDN Standard 2.0 기능 (0) | 2022.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