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Balancer 및 Cloud LINK 설정
Load Balancer을 이용하여 고가용성 웹 서비스 구성
Load Balancer 생성 (web1, web2)
여기서는 같은 존에 있는 두 개의 웹서버(web1, web2)를 Load Balancer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그전에 앞서 진행상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Server > Networking 에서 Seoul M Zone의 기본IP를 선택하고, [접속설정]을 클릭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o0M51/btrBHVCdtFj/NvtvqSBA0eXbe5AO2dkWoK/img.png)
- - web1의 22포트는 공인IP의 10001포트, web1의 80포트는 공인IP의 20001포트
- - web2의 22포트는 공인IP의 10002포트, web2의 80포트는 공인IP의 20002포트
위와 같이 접속 설정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했으면, Load Balancer > Load Balancer 에서 [로드밸런서 생성]을 클릭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553Z/btrBHUpLZQd/Dj69QMHgJMkImGS59jjxnk/img.png)
다음과 같이 내용을 입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qTLj/btrBLXS7B5V/FkXtiShS0ydmixiby77QIK/img.png)
- - 위치: 생성할 zone을 입력합니다.
- - 서비스 IP / PORT: 로드밸런서의 서비스IP와 포트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호출할 새로운 IP:port)를 선택합니다. 신규 IP할당인 경우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default) 포트는 HTTP이므로 80을 입력합니다.
- - 로드밸런서 타입: 로드밸런서 타입을 선택합니다. (HTTP)
- - 로드밸런서 옵션: 로드밸런싱에 사용할 알고리즘을 선택합니다. 각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은 주요 상품 개요를 참고하세요.
- - Health Check: 서버가 살았는지 죽었는지를 체크할 방법을 입력합니다. 여기서는 간단히 TCP를 선택합니다.
- - 적용서버: 로드밸런서에 등록할 웹서버와 공인IP포트를 선택합니다. web1서버 공인IP의 20001포트, web2서버 공인IP의 20002포트를 선택합니다.
생성된 Load Balancer를 확인합니다.
목록에서 보이는 IP가 Load Balancer의 서비스 IP(신규 할당된 IP, 211.253.14.96)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HTCB/btrBFZLLLed/TMhVJhQGw1Gal4NSdOE8g0/img.png)
여기까지의 진행사항을 구성도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yZHk/btrBHlHWysM/83dwB4ZWhu1moizwoSveh0/img.png)
- 웹 브라우저에 Load Balancer의 서비스IP를 반복하여 호출해 봅니다.
- web1과 web2이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 테스트
Server > Server 에서 web1 서버를 정지한 후 웹 브라우저에서 Load Balancer 서비스 IP로 다시 반복 호출해 봅니다.
web1 서버를 다시 시작하고 웹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IP를 반복 호출하여 결과를 확인합니다.
Cloud LINK를 이용하여 멀티가용성존 아키텍처 구성
참조 : https://cloud.kt.com/portal/user-guide/education-edubasic-edu_ess_7
'CSP (Cloud Service Provider) > KT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NA Web Application Server소개 (0) | 2022.05.25 |
---|---|
[KT Cloud] 로드 밸런서 상품 소개 (0) | 2022.05.19 |
KT Cloud 서버 생성 실습 (0) | 2022.05.03 |
[KT Cloud] KT Cloud 서버 상품 소개 (0) | 2022.04.27 |
KT Cloud의 단점 (0) | 2022.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