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하!!!!!이번주는 드디어 3tier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저희가 올린 포스팅을 잘 따라오셨으면 3tier를 문제없이 구축하실 수 있을꺼예요 마지막까지 화이팅!
DB를 생성해줍니다. 저번에 다루었던 포스팅과 똑같은 환경으로 생성합니다.
생성된 DB의 <연결 보안>탭으로 이동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해줍니다.
<서버 매개 변수> 탭으로 이동하여 필터링항목에 zone을 검색한 후,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여기까지 모든 리소스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Was와 DB연동만 하면 끝입니다.! 화이팅!
우선 was에서 원활한 작업을 하기 위해 ILB의 백엔드에서 was를 떼냅니다. 이후 Was에 공용IP를 새로 만들어 줍니다.
이후 VM에 접속하여 mysql connetor를 다운받아 줍니다.
작성일기준 최신 버전으로 다운받아줍니다.
(이후 최신버전이 업로드 될 경우 dev.mysql.com/downloads/connector/j/ 다음 링크로 이동하여 다운받으면 됩니다.)
wget https://dev.mysql.com/get/Downloads/Connector-J/mysql-connector-java-8.0.29.tar.gz
tar xvfz mysql-connector-java-8.0.29.tar.gz
cd mysql-connector-java-8.0.29/
다운로드 후 , 압축을 풀고 폴더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jar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jar파일을 Tomcat의 libary와 Java 의 ibrary에 넣어줍니다.
#Java library
cp -a mysql-connector-java-8.0.29.jar /usr/lib/jvm/java-1.8.0-openjdk-1.8.0.332.b09-1.el7_9.x86_64/lib/
#Tomcat의 library
cp -a mysql-connector-java-8.0.29.jar /opt/tomcat/latest/lib/
MYSQL-Conncetor를 JSP가 인식하기 위하여 Tomcat의 context파일을 설정해줍니다.
#vim /opt/tomcat/latest/conf/context.xml
<Context>
<Resource name="jdbc/MYSQLDB"
auth="Container"
type="javax.sql.DataSource"
username="DB 서버 관리자 로그인 이름"
password="비밀번호"
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url="jdbc:mysql://DB 서버이름:3306/sys"
maxActive="15"
maxIdle="3"/>
</Context>
다음은 JSP 작성입니다.
#vim /opt/tomcat/latest/webapps/ROOT/test.jsp
<%@ page import = "java.sql.*" %>
<%
try{
Class.forName("com.mysql.jdbc.Driver");
String url = "jdbc:mysql://DB 서버 이름:3306/sys";
Connection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DB 서버 관리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out.print("Success!");
}
catch(Exception e){
out.print(e.toString());
}
%>
연결에 성공하면 Success!라는 문구를 화면에 나타내는 JSP 파일입니다.
#웹페이지 :
was의 공용IP:8080/test.jsp
#Bash :
curl was의 공용IP:8080/test.jsp
이렇게 was와 DB가 연동된것을 확인하면 다시 Was의 공용IP를 제거하고 ILB와 연결해주면 됩니다.
이후 ELB의 프런트 엔드 IP로 웹브라우저에서 접속을 성공하면 3Tier 구축이 완료된것을 알 수 있습니다.
드디어 이번주까지 해서 Azure를 사용한 3tier 구축이 끝이났습니다. 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베바~~~~~~~~
'CSP (Cloud Service Provider)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Log Analytics란? (0) | 2022.06.22 |
---|---|
Azure의 전체 스택 모니터링 소개 (0) | 2022.06.16 |
Azure 3tier 구축 (1) WEB + WAS (0) | 2022.06.10 |
Azure VMSS란? (0) | 2022.05.31 |
Azure Bastion이란? (0) | 2022.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