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하💙 누구든 탑승할 수 있는 유임승차 팀입니다!!💨😉
- 쿠키, 세션 사용하는 이유 : HTTP 프로토콜의 특성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 환경은 "connectionless, stateless"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합니다. 이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게됩니다.
- 쿠키 ( Cookie )
-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
-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
-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음
-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도
- 쿠키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
-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
-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 시켜 응답
-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쿠키 만료 기간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서 보관하고 있음
- 같은 요청을 할 경우 HTTP 헤더에 쿠키를 함께 보냄
- 서버에서 쿠키를 읽어 이전 상태 정보를 변경 할 필요가 있을 때 쿠키를 업데이트 하여 변경된 쿠키를 HTTP 헤더에 포함시켜 응답
- 세션 ( Session )
-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
-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
-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
-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
-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
-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 데 이것이 세션 ID
- 세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 받음
- 클라이언트는 세션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가지고 있음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의 세션 ID를 같이 서버에 전달해서 요청
-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 받아서 별다른 작업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언트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
-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 쿠키와 세션 차이
- 쿠키와 세션은 비슷한 역할을 하며, 동작원리도 비슷 → 그 이유는 세션도 결국 쿠키를 사용
-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 → 쿠키는 서버의 자원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
- 보안 면에서 세션이 더 우수하며, 요청 속도는 쿠키가 세션보다 더 빠름 → 그 이유는 세션은 서버의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
- 보안,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기 때문에 변질되거나 request에서 스니핑 당할 우려가 있어서 보안에 취약하지만 세션은 쿠키를 이용해서 sessionid 만 저장하고 그것으로 구분해서 서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비교적 보안성이 좋음
- 라이프 사이클, 쿠키도 만료시간이 있지만 파일로 저장되기 때문에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계속해서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음
- 만료기간을 넉넉하게 잡아두면 쿠키를 삭제를 할 때 까지 유지될 수도 있음
- 세션도 만료시간을 정할 수 있지만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만료시간에 상관없이 삭제
- 쿠키에 정보가 있기 때문에 서버에 요청시 속도가 빠르고 세션은 정보가 서버에 있기 때문에 처리가 요구되어 비교적 느린 속도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번엔 더욱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오겠습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TP와 SMTP서버 (0) | 2022.12.23 |
---|---|
[보안]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시스템을 활용한 TLS 통신(HTTPS, 공동인증서) (0) | 2022.12.21 |
HTTPS, SSL 인증서 및 복호화, 암호화 (0) | 2022.12.19 |
DNS 레코드 (0) | 2022.11.29 |
백본(Backbone), 백본망이란? (0) | 2022.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