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31

[Linux]시스템 로그와 모니터링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쁜이와 멋쟁이의 "BTC_준호" 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로그와 모니터링은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로그와 모니터링의 기본적인 개념과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시스템 로그의 이해 리눅스 시스템 로그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시간 순서대로 기록한 파일들을 말합니다. 이는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추적하고,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데 근본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시스템의 보안 상태를 파악하고, 보안 문제를 조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에서는 주로 /var/log 디렉토리에 로그 파일들이 저장됩니다. 이 디렉토리 아래에는 다양한 로그 파일들이 위치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 2023. 6. 12.
[Linux]inode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쁜이와 멋쟁이의 "BTC_준호" 입니다. 리눅스와 같은 유닉스 계열의 운영 체제에서는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본 단위로 inode(index node)를 사용합니다. 파일의 이름, 크기, 소유자, 퍼미션(permission) 등의 메타데이터는 이 inode에 저장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inode가 무엇인지 그리고 inode가 가득 차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ode란 무엇인가? inode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파일에 대한 '식별 정보'를 담고 있는 것 입니다. 이는 파일의 이름, 크기, 소유자, 그룹, 퍼미션, 수정 시간 등의 메타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실제 파일의 내용은 inode가 아닌 디.. 2023. 5. 29.
[Linux]프로세스와 컴퓨팅의 핵심 이해 안녕하세요. 이쁜이와 멋쟁이의 "BTC_준호" 입니다. 오늘은 리눅스 프로세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프로세스는 간단히 말하면 실행 중인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넘어 프로그램, 프로세스, 프로세서라는 컴퓨팅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라고 했는데,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컴퓨터 메모리에 로드되고,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되는 일련의 명령어들의 인스턴스입니다. 즉,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올라가서 실제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 .. 2023. 5. 17.
[WSL] WSL 이란? 안녕하세요 항상 웃음이 나는 픠식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WSL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란?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기존에 윈도우에서 Virtual Machine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느린 리눅스를 사용하거나, 우분투를 따로 설치하여 부팅 때 OS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보다 훨씬 더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WSL 사용하는 이유 1. 리눅스 커맨드라인을 윈도우에서 사용가능 2. bash shell에서 윈도우 파일에 쉽게 접근하고 실행시킬수 있음 3. bash script를 윈도우 드라이브에서 실행할 수 있음 4. 윈도우에서 vscode로 작업하면서 리눅스에서 돌아가는 백엔드 앱을 디버깅할 수 있음 5. AF unit s.. 2023. 5. 12.
[Linux] 셸 스크립트(2) 안녕하세요. BTC95입니다. 오늘도 이어서 리눅스 셸 스크립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리눅스는 대부분을 C 언어로 작성했기 때문에 셸 스크립트도 C 언어와 유사한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뤄본 적이 있다면 보다 쉽게 셸 스크립트를 공부할 수 있습니다. 셸 스크립트도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와 비슷하게 변수, 반복문, 제어문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별도로 컴파일하지 않고 텍스트 파일 형태로 셸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셸 스크립트는 주로 vi 에디터나 gedit으로 작성하는 편입니다. 셸 스크립트 작성 vi name.sh #!/bin/sh특별한 형태의 주석으로 bash를 사용하겠다는 의미 echo "사용자 이름: " $US.. 2023. 1. 19.
CentOS7에 OpenJDK 설치 서버에 Java를 설치할 때 여러 방법이 있지만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폐쇄망에에서는 yum을 사용해서 설치하기가 어렵습니다. 아래는 오프라인 환경일 때의 CentOS7에 OpenJDK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OpenJDK 다운로드 아래 링크에 접속 https://github.com/AdoptOpenJDK/openjdk8-upstream-binaries/releases Releases · AdoptOpenJDK/openjdk8-upstream-binaries Not to be confused with openjdk8-binaries (which are AdoptOpenJDK's official binary release). These are pure unaltered builds from the O.. 2023. 1. 10.
오프라인 Docker 설치방법 안녕하세요 BTC 백만장작입니다 제가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의 서버들은 Jumphost 서버를 제외하면 대부분 오프라인 환경의 서버입니다. 오늘은 이와 같은 오프라인 서버에서 Docker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하려 합니다. OS는 CentOS 7 기준입니다. 1.필요 패키지 yum 설치 yum -y install yum-utils device-mapper-persistent-data lvm2 2.docker ce 바이너리 설치 1. selinux 설치 정보 : https://centos.pkgs.org/7/centos-extras-x86_64/container-selinux-2.119.2-1.911c772.el7_8.noarch.rpm.html 바이너리 : http://mirror.centos.org/cen.. 2022. 12. 21.
리눅스 압축 관련 명령어 안녕하세요 BTC 백만장작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압축 관련 명령어를 함께 공부해보려 합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tar 혹은 tar.gz로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어야 할 경우가 자주 생깁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tar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tar 명령어도 여러가지 옵션이 있지만 오늘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패턴만 정리해보기로 하였습니다. 1. tar로 압축하기 > 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ex) abc라는 폴더를 aaa.tar로 압축하고자 한다면 > tar -cvf aaa.tar abc 2. tar 압축 풀기 > tar -xvf [파일명.tar] ex) aaa.tar라는 tar파일 압축을 풀고자 한다면 > tar -xvf aaa.tar ..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