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296

CloudWatch 모니터링 및 알람 베하~! BTC_녹차공원 팀의 민물공원 입니다. 이번주는 CloudWatch로 EC2 모니터링 하는 법과 SNS(Simple Notification Service)를 이용해 메일로 알람받는 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모니터링 이란? "시스템 상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과정" 입니다. 왜 모니터링을 해야 할까요? 지속적인 감시, 관찰을 통해 대상의 상태나 변화들을 확인하고 오류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모니터링 CloudWatch의 기능 1. 수집 - CloudWatch Metrics에 커스텀 지표 수집 - CloudWatch Logs로 로그 수집 2. 분석 - CloudWatch Logs Insights로 게임서비스 동작 분석하기 3. 알림 - CloudWatch 경보로 알람 받기 - 운영.. 2023. 5. 19.
[AWS] DataPipeline 베하~~ 수 지 타 산 입니다 이번 한 주도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데이터파이프라인에 대해 공부할게요 팔로팔로팔로미 AWS DataPipeline 이란? 데이터의 이동과 변환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웹 서비스 온프레미스 데이터 소스뿐 아니라 여러 AWS 컴퓨팅 및 스토리지 서비스 간에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지정된 간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원하는 웹 서비스 저장된 데이터에 정기적으로 액세스하고, 대규모로 데이터를 변환 및 처리하며, Amazon S3, Amazon RDS, Amazon DynamoDB 및 Amazon EMR과 같은 AWS 서비스에 그 결과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내결함성이 있고, 반복 가능하며, 가용성이 높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워크로드를 손쉽게 생성할 수 .. 2023. 5. 12.
[AWS] KMS 개념, 동작방식 정리 베하 안녕하세요 팀 비티시보이즈입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AWS KMS의 개념과 동작방식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KMS의 특징에 대해서는 해당 링크 참고 해주세요. AWS KMS란? 안녕하세요, BTC 베짱이 팀입니다. 이번 주는 'AWS KMS' 주제로 포스팅하겠습니다! KMS (Key Management Service) 개념 AWS Key Management Service(AWS KMS)를 사용하면 손쉽게 암호화 키를 생성 및 관리하고 다양한 AW btcd.tistory.com 1. AWS KMS 개념 KMS는 Key management Service의 약자 데이터를 암호화 할때 사용되는 암호화 Key를 안전하게 관리하는데 목적을 둔 서비스 AWS CloudTrail과 통합하면 누가 어느 리.. 2023. 5. 12.
[AWS] Global Accelerator 베하~! 할배즈....입니다. 글로벌 서비스에 필수인 Global Accelerat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lobal Accelerator(글로벌 액셀러레이터)는 AWS의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여 인터넷 사용자 성능을 최대 60% 개선하는 네트워킹 서비스입니다. AWS Global Accelerator는 퍼블릭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 성능 및 보안을 개선하는 데 유용한 네트워킹 서비스입니다. Global Accelerator는 애플리케이션 엔드포인트로의 고정 진입점 역할을 하는 두 개의 글로벌 정적 공용 IP(예: Application Load Balancer, Network Load Balancer, Amazon Elastic Compute Cloud(EC2) 인스턴.. 2023. 5. 12.
[AWS] cross-zone load balancing(교차 영역 로드 밸런싱) 안녕하세요. BTC95입니다. 오늘은 cross-zone load balancing(교차 영역 로드 밸런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ross-zone load balancing(교차 영역 로드 밸런싱) 교차 영역 로드 밸런싱을 이용하면 각 로드 밸런서 인스턴스는 전체 가용 영역에 등록된 모든 인스턴스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산 됩니다. 아래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첫 번째 ALB 인스턴스에 50, 그리고 나머지 인스턴스에 남은 50을 보낸다고 가정했을때, 각 AZ에 있는 ALB는 가용 영역에 관계 없이 전체 10개의 인스턴스에 트래픽을 고르게 분산합니다. 이것이 바로 교차 영역 로드 밸런싱입니다. 만약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각 ALB node가 가진 인스턴스로만 트래픽을 보냅니다. 만약 .. 2023. 5. 12.
[AWS] ALB 로그 수집 후 S3 저장 방법 베하~~안녕하세요 3대 500의 man, xoxo 입니다. 더보기로그는 컴퓨터가 개별적인 작업이나 이벤트에 대해 생성하는 기록으로 타임스탬프가 찍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로그데이터는 함수 호출, 오류, HTTP 요청,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등이며, 로그는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단계별 상세 정보를 제공합니다.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거나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해주는 로그를 수집 해야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겠죠?? 만약 에러가 발생했을 때 로그가 수집이 안된다면...에러 찾는다고 화딱지가 날 것입니다. 따라서 로그를 수집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그럼 이번주는 AWS ALB의 로그를 수집하여 s3에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로그를 저장할 S3버킷을 .. 2023. 5. 11.
[AWS] 구매 옵션 베하~! 탑신병자 듀오 팀 나르 입니다! 오늘은 클라우드에서 중요한 비용관리를 위해 인스턴스 구매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AWS의 요금 적용 방식부터 알아봐야겠죠?? AWS 요금 적용 방식 AWS 요금 적용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실제 사용한 만큼 지불 말 그대로 장기 계약 또는 복잡한 라이센스 없이 각 서비스에서 실제 사용한 리소스의 양에 대해 정확히 지불한다 둘째, 예약을 통해 할인을 받는다 온디맨드 방식에 비해 예약 옵션을 통하여 할입을 방는 방식 입니다 셋째, 많은 사용량을 통하여 볼륨 기반 할인을 받는다 AWS의 일부 서비스들은 계층된 요금을 제공하여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위 비용이 낮게 책정 됩니다 예로는 S3를 들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구매 옵.. 2023. 5. 11.
[AWS] CloudFront 쿠키 기반의 콘텐츠 캐싱 내가 만든 쿠키~🍪 BTC 뉴진쓰팀의 큰뉴진입니다! 이번에 쿠키와 관련된 AWS CloudFront의 기능을 소개해드릴게요. CloudFront는 엣지 서버에 웹 콘텐츠를 저장해서 사용자가 직접 오리진 서버에 접근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전달하는 서비스인데요, 이때 쿠키를 사용하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CloudFront에 다른 쿠키를 가진 같은 요청이 오면 요청을 동일하게 처리하고 두 요청에 대해 동일한 객체를 반환하게 되요. 쿠키 기반의 콘텐츠 캐싱을 사용하면, 쿠키별로 객체의 버전을 다르게 캐싱할 수 있게 되는데요, 어떻게 동작하는지 한번 알려드릴게요.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할 때 CloudFront에서는 같이 전달된 쿠키의 일부 혹은 전체를 사용해서 캐시의 객체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오.. 2023.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