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S11 Terraform 리소스에 대한 이해 - AWS 3편 안녕하세요! 하씨가문의 영광입니다! 지난주 Terraform AWS EC2까지 다루었는데요! 이번에는 AWS의 DB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Don't have a good day, Have a great day! ▶ 목차 aws_db_subnet_group aws_db_instance aws_db_security_group aws_db_parameter_group 1. aws_db_subnet_group resource "aws_db_subnet_group" "default" { name = "main" subnet_ids = [aws_subnet.frontend.id, aws_subnet.backend.id] tags = { Name = "My DB subnet group" } } 필수 설명 옵션 .. 2022. 10. 4. [AWS RDS] DB Cluster Parameter Group VS Instance Parameter Group 안녕하세요. Administrator팀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WS DB Parameter group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RDS Parameter에 관해 큰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urora cluster parameter group 과 instance parameter group의 차이가 정확히 무엇인지 잘 알아야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겠죠? 두 parameter group 에 동일한 parameter도 존재한다면 어떤 값이 우선적으로 적용이 되는지 헷갈리는 점이 있기 때문에 이번 글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Cluster parameter vs Instance parameter DB Cluster parameter group : 클러스터에 포함된 모든 Instance에 적용 됨 D.. 2022. 9. 13. AWS 2Tier 만들기 No.2 (RDS MySQL) 안녕하세요!! AWS로 2Tier 만들기 주제로 나타난 BTC - 진상팀이에요~ 지난주 https://btcd.tistory.com/170?category=927604(VPC,EC2)에 이어서 이번주는 RDS MySQL 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RDS는 AWS에서 관계형 DB를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서비스 인건 다들 아시죠? 이전글에 포스팅 했습니다.!! 1. DB를 위한 서브넷 설정 A. RDS -> 서브넷그룹 -> 이름입력 -> 설명입력 -> 만든 VPC 선택 B. 저번에 만들었던 a존과 c존에 위치한 프라이빗 서브넷2개 선택 -> 생성 2. DB생성 A. '데이터베이스' 메뉴 클릭 ->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B. 표준생성 -> MySQL -> 버전선택 -> 프리티어선택 C. DB이름작성 .. 2022. 5. 1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