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 디렉터리 용량 부족 시 정리 사항
업무를 하다가 잘 모르겠거나 정리해서 사용할 부분들을 포스팅 해본다. /는 리눅스 시스템의 최상위 디렉터리로, 디렉터리 구조의 시작이 된다. 디렉터리 내에는 /bin, /etc, /boot, /mnt, /lib, /home, /dev, /proc, /var, /sbin, /tmp, /root, /lost+found 등의 디렉터리가 존재하며, 시스템과 관련된 파일들이 모여있다. 리눅스의 최상위 디렉터리는 / 이다. 여기서부터 디렉터리 구조가 시작이다. 디렉터리 내에는 /etc /mnt /bin /dev, /proc 등등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는 디렉터리가 있다. 이번 포스팅은 / 디스크 용량이 꽉찬 경우 정리할 곳을 알려줄 것이다. /home 시스템 계정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디스크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인..
2022. 9. 26.
[ Linux ] 파일 권한(1)
안녕하세요 파바샐도 입니다 (‾◡◝) 파일권한의 개념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파일의 접근 권한은 읽기, 쓰기, 실행 권한에 대해 소유자, 그룹, 기타 유저에 따라 나눠집니다. 총 9글자로 되어있는데 잘 보면 비슷한 글자가 3개씩 반복되어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듯, 각 영역은 앞에서부터 소유자, 그룹, 기타 유저에 대한 권한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각 글자는 읽기(Read, r), 쓰기(Write, w), 실행 (eXecute, x) 권한을 나타냅니다. 즉 하이픈(-) 부분은 공백에 해당하며, 자리의 권한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위의 예시를 해석해보면 rwx/r-x/r-x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가능 그룹은 읽기, 실행 가능 기타 유저는 읽기, 실행 가능..
2022.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