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Linux87

xshell을 활용한 터널링 안녕하세요 여러분 베하~~! BetterMonday 팀입니다. 이번주는 Xshell을 활용한 터널링 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슈우우웃! 먼저 간단하게 터널링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부에서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특정 포트로 서비스에 접속할 때 사용합니다. 고객사가 내부 정보인 DB등의 서비스를 요청할때 활용됩니다. 또한 Xshell은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의 PC와 다른 컴퓨터에, 안전한 보안 터널을 생성하여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TCP/IP 및 X11 포워딩 기능을 제공합니다. 터널링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하고 Xshell로 터널링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저희는 Bastion을 통해 DB에 접속한다는 시나리오로 .. 2022. 8. 5.
[Linux]Application Config 에 대해 알아보자! Application Confi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config 설정은 총 세 가지 입니다! php.ini php.ini 는 /etc 에 위치한 PHP의 설정 파일입니다! 이것을 변경하면 서버의 모든 PHP 스크립트에 설정 내용이 반영됩니다! httpd.conf 두 번째로는 아파치와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는 설정 파일입니다! 일반적인 Yum 으로 설치된 아파치 경우에 /etc/httpd/conf/httpd.conf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y.cnf my.cnf 는 Unix 계열의 MySQL 엔진에서 사용하는 configure 파일입니다! 일반적으로 yum 을 통해 설치된 경우에 /etc/my.cnf 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세 가지 config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 2022. 8. 4.
SSH 터널링 안녕하세요~! BTC의 루피입니다!!🤗 업무과제를 진행하면서 새로운것들을 배웠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SSH 터널링이라는 것입니다!! 저도 자세히는 잘 모르지만 이번 블르그 포스팅을 통해 조금 더 알아보고 저와 같이 SSH 터널링을 잘 모르는 분들께는 좋은 정보이지 않을까 싶어요 😊 그럼 지금 부터 같이 SSH터널링에 대해 알아볼까요? SSH 프로토콜이란? : Secure shell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SSH 터널링이란? : 많은 사용자들이 SSH를 단순히 원격 접속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SSH는 기본적인 접속 기능 외에 SSH .. 2022. 7. 30.
tar 안녕하세요~~ 저희는 공공의 적 팀입니다~~ 2022. 7. 25.
편리한 로그 수집을 위한 Apache Log4j 소개 안녕하세요~~ 저희는 공공의 적 팀입니다~~ 2022. 7. 17.
[Linux] 리눅스 패키지 비교 (1) ♪(´▽`) 여러분 반갑습니다 파바샐도 팀입니다. 너무 당연한 듯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 패키지 종류에 대하여 잘 알고 계시나요? 오늘은 리눅스 패키지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패키지란? 리눅스 패키지(Linux Package)란 리눅스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들(실행파일, 설정 파일, 라이브러리 등)이 담겨 있는 설치 파일 묶음입니다. 패키지는 종류는 소스 패키지(Source Package)와 바이너리 패키지(Binary Package)가 있습니다. 소스 패키지(Source Package)는 말 그대로 소스 코드(C언어..등)가 들어 있는 패키지로 컴파일 과정(configure, make, make install 명령어)을 통해 바이너리 파일로 만들어야 실행할 수 있습니다.. 2022. 7. 14.
Tomcat 일자별 로그 순환 및 삭제 (catalina.out) 안녕하세요~~ 저희는 공공의 적 팀입니다~~ 2022. 7. 1.
[Linux] ssh 접속 ヽ(゜▽゜ )- 반갑습니다 파바샐도 입니다. 이번주는 ssh 접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SH 란 무엇입니까?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인터넷 연결만 되어 있어도 내 컴퓨터를 활용해서 다른 지역에 있는 컴퓨터 혹은 서버를 관리할 수 있게 컴퓨터 간 통신으 돕는 protocol입니다. 여기서 protocol이란, 서로 다른 통신 간 주고받는 데이터의 양식과 규칙을 뜻합니다.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보여주기 위해 서버와 통신할 때 HTTPs protocol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컴퓨터들이 shell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protocol이 필요했고, 지금 가장 많이 가용되는 것이 SSH입니다. 그렇다면 SSH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sh접속시 전체적인 진행상황 1.. 2022.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