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진쓰14

TCP/IP 5계층 안녕하세요~ 뉴진쓰팀의 작은뉴진입니다! 오늘은 TCP/IP 5계층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해요~ TCP/IP 4계층에 대해서는 많이들 들어보셨을 텐데요, 인터넷 표준이 계속해서 갱신되면서 하위의 계층이 세분화 되었고 아래처럼 5계의 계층을 가진 TCP/IP Updated 모델이 되었어요! 기존의 모델과의 차이로는 1. 1계층인 링크 계층이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세분화 되었다는 점, 2. 인터넷 계층이 네트워크 계층으로 바뀌었다는 점 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TCP/IP란 무엇인지 한번 짚고 넘어갈까요? TCP/IP 란?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인데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TCP와 IP 두 가지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어요~ TCP란? Tran.. 2023. 6. 12.
[AWS]Fargate 안녕하세요~ 뉴진쓰 팀의 큰뉴진입니다! 이번에는 제가 관심이 있던 서비스를 하나 들고왔어요~ 짜잔~ 바로 Fargate 랍니다. 쿠버네티스 환경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라고 하니 한번 알아두면 쓸일이 있겠죠? 쉽고 간단하게 한번 알아보자구요! Fargate란? 컨테이너에 적합한 서버리스 컴퓨팅 엔진으로, 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ECS) 및 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EKS)와 연동해서 인프라 관리를 대신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어요. 연동을 하면 프로비저닝된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컨테이너 크기를 조정하고 로드 밸런싱 한답니다. Fargate의 기능 컨테이너에 대한 프로비저닝, 패치 적용, 클러스터 용량 관리도 Fargate가 대신 해주.. 2023. 6. 9.
Sticky Session과 Session Clustering 안녕하세요~ 뉴진쓰팀의 작은뉴진입니다! 오늘은 Sticky Session과 Session Clustering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해요~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볼까요? 한 대의 서버로는 부족하게 되면 Scale Out을 해서 여러 서버에 로드밸런싱을 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세션이 불일치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고객이 서버 1에서 로그인을 하고 상품을 주문을 했는데 로드밸런싱 알고리즘으로 인해 서버1이 아닌 서버2로 요청이 됐지만 서버2에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없어서 다시 로그인을 하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죠~ 근데 잠깐, 여기서 세션이란 무엇일까요? 세션이란 웹 사이트의 여러 페이지에 걸쳐 사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이라고 해요. 사용자 측의 컴퓨터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쿠키와는 다.. 2023. 6. 2.
Azure Load Testing 사용방법 베하~ 뉴진쓰팀의 큰뉴진입니다! 오늘은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3에서 언급된 따끈따끈한 서비스를 가져왔어요~ 혹시 Azure Load Testing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도 이번에 처음 들어보게 되었는데, 한 번쯤 부하테스트를 해보셨다면 바로 알만한 프로그램! JMeter와 비슷하면서도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인 것 같더라고요. 이번 기회에 Azure Load Testing의 기능에 대해서 낱낱이 알아보자고요! Azure Load Testing 아래와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보면 좀 어렵죠?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만약 원하는 서비스에 JMeter를 사용해서 초당 100의 트래픽을 발생시키려면 어떤게 필요할까요? - 공식 홈페이지에서 x64 installer를 다운 .. 2023. 5. 24.
[Windows] Hyper-V 안녕하세요. BTC 뉴진쓰팀의 작은뉴진입니다~! 이번에는 하이퍼바이저 중 하나인 Hyper-V에 대해 설명 드리려고 해요. 시작하겠습니다~ 하이퍼바이저란? 하이퍼바이저란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을 생성 및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하이퍼바이저는 메모리 및 처리와 같은 단일 호스트 컴퓨터의 리소스를 가상으로 공유하여 호스트 컴퓨터가 여러 게스트 VM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이퍼바이저의 종류에는 호스트의 하드웨어에서 직접 실행되는 타입 1 하이퍼바이저와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처럼 운영 체제에서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실행되는 타입 2 하이퍼바이저가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Type 1 하이퍼바이저인 Hyper-V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Hyper-V란? Hyper-V를 사용하면 .. 2023. 5. 17.
[AWS] CloudFront 쿠키 기반의 콘텐츠 캐싱 내가 만든 쿠키~🍪 BTC 뉴진쓰팀의 큰뉴진입니다! 이번에 쿠키와 관련된 AWS CloudFront의 기능을 소개해드릴게요. CloudFront는 엣지 서버에 웹 콘텐츠를 저장해서 사용자가 직접 오리진 서버에 접근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전달하는 서비스인데요, 이때 쿠키를 사용하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CloudFront에 다른 쿠키를 가진 같은 요청이 오면 요청을 동일하게 처리하고 두 요청에 대해 동일한 객체를 반환하게 되요. 쿠키 기반의 콘텐츠 캐싱을 사용하면, 쿠키별로 객체의 버전을 다르게 캐싱할 수 있게 되는데요, 어떻게 동작하는지 한번 알려드릴게요.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할 때 CloudFront에서는 같이 전달된 쿠키의 일부 혹은 전체를 사용해서 캐시의 객체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오.. 2023.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