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쿠버네티스16

쿠버네티스 이론 STEP4 Service (2) LB, ExternalName 클러스터 외부 서비스인 LB와 ExternalNam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웹의 프론트엔드 서비스를 실행하는 파드일 경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외부로 노출시켜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해야 합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서비스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Lb (Load Balance) Loadbalace + NodePort + ClusterIP 클러스터 외부의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근 가능 하도록 함. 외부 로드 밸런서로 접근하면 서비스를 통해 파드로 리다이렉션 함 CSP나 MetalLb에서 지원해 줌 클라우드의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 or MetalLB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외부 로드 밸런서가 프로비저닝 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IP 즉, LB IP.. 2022. 8. 5.
쿠버네티스 STEP1 run, YAML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컨트롤하기 위해 kubectl이라는 명령툴을 사용합니다. kubectl run 복제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만들고 실행하며 생성된 컨테이너를 관리하기 위한 배포 또는 작업을 생성합니다. kubectl run NAME --image=image [--env="key=value"] [--port=port] [--replicas=replicas] [--dry-run=bool] [--overrides=inline-json] [--command] -- [COMMAND] [args...] YAML (선언형 명령 정의서) 쿠버네티스에 요청하려면 1.어떤 오브젝트를 사용할 지 2.상세설정을 YAML파일 형식으로 정의 해야 합니다. 어떤 텍스트에 어떤 에디터를 사용하든 상관없이 해당 형식에 맞기만 .. 2022. 7. 29.
쿠버네티스 EC2 ubuntu에 k8s 구성하기 ABTCEFG♪ 안녕하세요, 여러분! BTC_김쿼카입니다. 이전 포스팅까지는 인프라 기초에 대해 배우는 시간이었다면 이번 포스팅부터는 저희와 같이 차근차근 쿠버네티스를 해볼 거에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먼저 AWS console에 접속해주세요! 저는 기존에 미리 만들어두었던 test-vpc에서 진행하도록 할게요. Chapter 1) EC2 생성 EC2 - Instances - Launch Instance를 클릭한 후 ec2 3대 만들기 [구성] - Master(Control Plane), Worker node 2대 - AMI : Ubuntu 20.04 - Spec : t3 small 2 Core, 2 RAM 1-1) ami 이미지 선택 1-2) Instance type 설정 및 ssh 접속을 위한 key.. 2022. 6. 29.
[K8S] containerd 란 안녕하세요. 막내즈입니다~!~!! 오늘은 쿠버네티스에서 필요한 container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Containerd 란? containerd는 고수준 컨테이너 런타임(High-level Container Runtime)으로서, 컨테이너를 실행하기 위한 여러 OS의 syscall들을 추상화하여,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커널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runC와 같은 저수준 컨테이너 런타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컨테이너 이미지를 실행/관리하고 컨테이너들의 수명주기 관리, 오버레이 파일시스템과 같은 Graphdriver가 작동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CONTAINERD - KUBERNETES 표준 컨테이너 런타임 containerd는 Doc.. 2022. 6. 16.
ReplicaSet 반갑습니다! 💙베하💙 누구든 탑승할 수 있는 유임승차 팀의 BTC 룰루랄라 입니다!!💨😉 저번 포스팅은 쿠버네티스 기능 중 하나인 Pod에 대해서 설명 드렸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Kubernetes의 ReplicaSet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룰루랄라~♬ ReplicaSet(복제셋)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ReplicaSet을 이용하여 Pod을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Pod을 단독으로 만들면 Pod에 어떤 문제(서버가 죽어서 Pod이 사라졌다던가)가 생겼을 때 자동으로 복구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Pod을 정해진 수만큼 복제하고 관리하는 것이 ReplicaSet입니다. ReplicaSet 만들기 이전에 만든 Pod을 ReplicaSet으로 만들어 봅니다. apiVersion: apps.. 2022. 5. 2.
Kubectl 명령어 실습 안녕하세요. 막내즈입니다~!~!! 오늘은 쿠버네티스의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습해보록 하겠습니다. (해당 환경은 리눅스입니다.)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Kubectl명령어로 webserver라는 이름의 이미지 nginx:1.14를 실행해준다. 그리고 80번 Port를 열어준다.) kubectl describe pod webserver (kubectl명령어로 webserver라는 이름의 포드 정보를 더 자세히 출력) - Events(worker1번 노드에 성공적으로 할당되었고 도커 허브에서 nginx:1.14를 가지고 와서 webserver라는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시작한 것을 볼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정보들도 볼 수 있다... 2022. 5. 2.
쿠버네티스 환경 쿠버네티스는 오픈소스입니다. 여기서 바로 Red Hat OpenShift가 필요합니다. OpenShift는 기업의 쿠버네티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OpenShift에는 레지스트리, 네트워킹, 텔레메트리, 보안, 자동화, 서비스 등을 비롯한 부가 기술이 모두 내장되어 있어서 기업이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쿠버네티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OpenShift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확장성, 제어,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컨테이너화 된 새 애플케이션을 구축하고 호스팅하고 클라우드에 배포함으로써 우수한 아이디어를 새로운 비즈니스에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기술과 방식 마스터 Master : 쿠버네티스 노드를 제어하는 머신입니다. 여기에서 모든 태스크 할당이 시작됩니다. 노드 .. 2022. 4. 13.
쿠버네티스란 ? 안녕하세요 ~~~~ 저희는 BTC 막내즈입니다 ~~~ ! 저희의 주제는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입니다!! 많관부 *^^* 첫 번째 게시물에서는 쿠버네티스 기술의 정의를 살펴보겠습니다 ♬ 쿠버네티스란? 쿠버네티스란 명칭은 키잡이나 파일럿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됐으며, K8s라는 표기는 K와 s사이의 8글자를 나타내는 약식 표기입니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 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 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쿠버네티스가 왜 유용한가? 전통적인 배포 시대 : 애플리케이션을 물리 서버에서 실행했을 시절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계를 정의할 방법이 없어 리소스 할당의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물리 서버 하나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리.. 2022.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