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바샐도28

Amazon VPC CNI EKS 추가 기능 업데이트 방법 3가지 안녕하세요~? BTC_오늘은 팔선생 탕수육 먹고 싶은 그런 날입니다! 이번에는 VPC CNI 업데이트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하려 합니다.!! Amazon EKS는 Kubernetes용 Amazon VPC 컨테이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CNI) 플러그 인을 통해 기본 VPC 네트워킹을 지원합니다. 이 플러그 인을 사용하면 Kubernetes 포드에서 VPC 네트워크에서와 마찬가지로 포드 내 동일한 IP 주소를 보유합니다. Amazon EKs 각 클러스터 버전에 대한 Amazon VPC CNI 추가 기능의 권장 버전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최신 마이너 버전의 경우 최신 패치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지만 한 번에 하나의 마이너 버전만 업데이트해야 합.. 2022. 7. 6.
[AWS] 도메인 등록 안녕하세요! 파바샐도에 루피입니다 ☆ 오늘은 제가 고객사에게 가장 많은 질문을 받은 도메인 등록에 대해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준비되셨죠? 자 그럼 시작합니다^^ 1.웹 사이트용으로 새로운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겠습니다. 2.Domain Name System(DNS)을 통해 해당 도메인 이름을 현재 실행 중인 EC2 인스턴스(예: WebApp 또는 WordPress, Apache, NGINX, IIS, 기타 웹 사이트 플랫폼 구동 웹 사이트)에 연결하겠습니다. 1단계: 정적 URL 확보 참고: Elastic Load Balancing을 사용하는 경우 고정 IP 주소를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Amazon Elastic Beanstalk로 앱을 시작하면 Elastic Load Balancing이 자동.. 2022. 6. 27.
[Linux] ssh 접속 ヽ(゜▽゜ )- 반갑습니다 파바샐도 입니다. 이번주는 ssh 접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SH 란 무엇입니까?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인터넷 연결만 되어 있어도 내 컴퓨터를 활용해서 다른 지역에 있는 컴퓨터 혹은 서버를 관리할 수 있게 컴퓨터 간 통신으 돕는 protocol입니다. 여기서 protocol이란, 서로 다른 통신 간 주고받는 데이터의 양식과 규칙을 뜻합니다.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보여주기 위해 서버와 통신할 때 HTTPs protocol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컴퓨터들이 shell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protocol이 필요했고, 지금 가장 많이 가용되는 것이 SSH입니다. 그렇다면 SSH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sh접속시 전체적인 진행상황 1.. 2022. 6. 24.
네트워크 ACL(NACL) 을 사용하여 서브넷에 대한 트래픽 제어 네트워크 ACL(액세스 제어 목록)은 1개 이상의 서브넷 내부와 외부의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방화벽 역할을 하는 VPC를 위한 선택적 보안 계층입니다. 보안 그룹과 비슷한 규칙으로 네트워크 ACL을 설정하여 VPC에 보안 계층을 더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의 차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네트워크 ACL 기본 사항 다음은 네트워크 ACL에 대해 알아야 할 기본 사항입니다. VPC는 수정 가능한 기본 네트워크 ACL과 함께 자동으로 제공됩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IPv4 트래픽을 허용하며, 해당되는 경우 IPv6 트래픽도 허용합니다. 사용자 지정 네트워크 ACL을 생성하여 서브넷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각 사용자 지정 네트워.. 2022. 6. 15.
[AWS] VPC 방화벽 (1. 보안 그룹 편)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AWS의 보안 그룹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실제로 클라우드 고객 지원팀에서 업무를 하다가 고객사들이 많이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가 보안 그룹 설정에 관한 것입니다! 지금 부터 보안 그룹에 대한 설명을 시작 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안 그룹은 VPC의 트래픽을 통제하고 제어한는 서비스입니다. 외부에서 접속을 못하게 하는 방화벽 설정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위 그림에서 보안 그룹 (security group)을 보면 인스턴스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수의 인스턴스가 하나의 보안 그룹을 쓰거나, 각자의 보안그룹을 쓸 수 도 있습니다. 보안 그룹은 (인스턴스에 대한 외부 & 인스턴스 & 내부 ) 트래픽을 제어하는 가상 방화벽 역할을 합니다. (* 여기서의 인스턴스는 vp.. 2022. 6. 5.
[ Linux ] 작업 관리 (2) 안녕하세요 파바샐도 팀 입니다 (‾◡◝) 저번에 atd 데몬에 이은 crond 데몬을 소개시켜 드리기 위해 돌아왔습니다! 시스템 사용이 가장 적은 새벽 5시에 백업을 해야 한다면. 하루 이틀쯤 이라면 퇴근을 하지 않고 기다릴 수 있겠지만, 매일 그래야 한다면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이런 경우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작업을 예약해줘야겠죠. Cron 데몬 같은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작업 스케줄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예약을 해놓으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작업이며, 주기적으로 실행할 내용을 디렉토리에 넣어 놓고 동작합니다. cron으로 작업 스케줄을 예약하기 위해서는 crond 데몬을 작동시켜야 하는데 데몬을 재.. 2022. 6. 3.
알아보자! 프로세스 정보들을! top을 이용해서. top 시스템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가장 빠르게 파악 가능(CPU, Memory, Process) 옵션 없이 입력하면 interval 간격(기본 3초)으로 화면을 갱신하며 정보를 보여줌 top 실행 전 옵션 순간의 정보를 확인하려면 -b 옵션 추가(batch 모드) -n : top 실행 주기 설정(반복 횟수) top 실행 후 명령어 shift + p : CPU 사용률 내림차순 shit + m : 메모리 사용률 내림차순 shift + t : 프로세스가 돌아가고 있는 시간 순 k : kill. k 입력 후 PID 번호 작성. signal은 9 f : sort field 선택 화면 -> q 누르면 RES순으로 정렬 a :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정렬 b : Batch 모드로 작동 1 : CPU Core별로 사용량.. 2022. 5. 25.
리눅스 명령어로 서버 상태 파악하기 안녕하세요 ^^ 이번에 포스팅을 담당할 RUPY입니다. CPU, 메모리 등 서버 이상이 생기면 모니터링을 감지를 하고 알람을 받게 됩니다.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 알기 위한 리눅스 명령어를 지금부터 보시죠~ TOP 명령어 top 명령어는 현재 OS의 상태를 나타내주는 CLI 어플리케이션입니다.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량 등을 나타내주며 top를 실행하는 동안에는 주기적인 업데이트로 실시간에 근접한 내용을 보여줍니다. 리눅스에서 top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래와 깉이 노출됩니다. 위에는 전체의 요약이 있으며 아래에는 각 프로세스마다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요약 영역은 top에서 상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요약영역은 전체 프로세스가 OS에 대해서 리소스를 어느정도 차지하고 있는지를 알려줍니.. 2022.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