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바샐도28

[ Linux ] 작업 관리 (1) (✿◡‿◡) 안녕하세요 파바샐도 팀 입니다. 어떤 작업 예약이나 주기적인 작업을 사람이 생각하고 관리해서 진행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럽죠.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 시스템 작업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 atd와 crond 데몬을 알아보겠습니다. atd 데몬이란? atd 데몬은 관리자가 지정한 시간에 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작업 스케줄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일회성 작업을 예약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즉 예약해놓으면 한번만 실행되고 소멸됩니다. at 스케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t 데몬이 작동하고 있어야 하므로 atd 데몬을 동작시켜야 합니다. ( at 내용은 /var/spool 디렉토리에 파일로 저장하여 관리 ) at설치하기 「at」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yum을 이용해서 설치해 주세요. # yum inst.. 2022. 5. 13.
가상화의 종류(호스트, 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소개] 가상화의 종류3가지 1) 호스트 가상화 : 호스트가상화는 Base가 되는 Host OS위에 Guest OS가 구동되는 방식입니다. 종류로는 VM Workstation, VMware Server, VMware Player, MS Virtual Sever, Virtual PC, Virtual Box, Paralles Workstation 등이 있습니다. 장점 : 가상의 하드웨어를 에뮬레이팅하기 때문에 호스트 운영체제에 크게 제약사항이 없음. 단점 : OS위에 OS가 얹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클 수 있음. 2)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 하이퍼가상화는 Host OS없이 하드웨어에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종류로는 Xen, MS hyper-V, citrix, KVM 등이 있습니.. 2022. 5. 4.
[Linux] 리눅스 파일시스템 반갑습니다! 오늘은 즐거운 금요일 파바샐도팀 입니다 (❁´◡`❁) 파일시스템과 디렉토리 구조를 잘 안다면 이 과정이 숙달된 상태에서는 상당부분 편하다는 장점이 있죠. 파일시스템은 리눅스를 써야할 때 쉘 명령어, vi와 함께 가장 필수적인 사항이 아닐까합니다! 저는 오늘 여러분들께 '리눅스의 파일시스템 사용하기' 라는 주제로 찾아왔습니다 🌺 리눅스 파일시스템 파일을 사용자가 쉽게 접근 및 발견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시스템의 디스크상에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보관하는 방식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파티션을 나누고 정리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여러 파일들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 파일', '디렉토리', '링크된 파일', '디바이스 파일'이 있습니다. 1. 특징 - Linux에서 데이.. 2022. 4. 22.
[Linux] Vi editor - 단축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터는 "오늘은 팔선생 탕수육 먹고 싶은 그런 날" 이 업로드 합니다.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Vi editor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vi 에디터 단축키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1. Vi editor란? vi 편집기는 1976년 빌조이가 개발하였고, 유닉스 계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편집기이다. vi 편집기는 한 화면을 편집하는 비주얼 에디터( Visual Editor ) 이다. 2. VI ( Visual editor ) 편집기의 특징 vi는 Emacs와 함께 Unix 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문서 편집기이다. 1976년 빌 조이가 초기 BSD 릴리즈에 포함될 편집기로 만들었다. vi라는 이름은 한 줄씩 편집하는 줄단위 편집기가 아니라 한 화면을 편집하.. 2022.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