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 Cloud22

웹방화벽 이용방법 웹방화벽의 생성 및 삭제 WAF은 다음 순서로 웹 방화벽 신청 화면에서 서비스 구성을 합니다. 상품소개에서 보안 -> 콘솔에서 WAF 선택 -> 웹 방화벽 생성 버튼 클릭 1 단계 서비스 구성 (1) WAF 가 생성되기를 원하는 위치를 선택합니다. (2) WAF 이름을 입력합니다. (3) Single 선택, WAF 의 이중화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는 Single 을 2 개 생성하여 구성합니다. (4) 사양 : 필요 트래픽에 따라 상품(Standard, Advanced, Premium)을 선택합니다. 각 상품별 Throughput은 (350 / 600 / 1000)이므로 서비스 최대 트래픽을 고려하여 상품 선택이 필요하며, 안정적 서비스를 위해 반드시 이중화 하여 구성할 것을 권고합니다. (5) WAF이 사.. 2022. 8. 24.
[KT Cloud] 웹방화벽(WAF) 개요 오늘은 웹방화벽(WA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적/용도 웹방화벽은 웹서버 앞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HTTP/HTTPS 트래픽을 감시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이 탐지되면 해당 공격이 웹 서버에 도달하기 전에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림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웹방화벽은 방화벽에서 걸러주지 못하는 응용계층의 위험한 유해 트래픽을 웹 서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근본적으로 차단합니다. 고도로 지능화, 다양화되고 있는 웹 공격을 효율적으로 탐지 및 차단하여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일반적인 방화벽은 출발지 및 목적지의 IP/Port 정보 기반으로 필터링을 하는 보안 장비로 TCP/IP 프로토콜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실시하기 때.. 2022. 8. 16.
[KT Cloud]Private Subnet 오늘은 KT Cloud의 Private Subnet 개념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Private Subnet Private Subnet 구성도 현재 KT Cloud server 생성시 VM에 Single NIC(Network Interface Card)만 제공되어, 내/외부 트래픽이 동일 네트워크에서 유통됨 Private Subnet (구.CIP) 사용시 VM에 Multi-NIC이 제공되어, 외부 트래픽과 내부 트래픽을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통 가능 아래 그림과 같이 별도 네트워크 대역을 통해 Tier 구성(ex. WEB server-DB서버), Inter-AZ 사용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 1개 Zone에서 1개의 CIP만 생성 가능 Private Subnet (구.CIP) 생성 KT .. 2022. 8. 4.
[KT Cloud] 스냅샷 생성 Disk Snapshot ‘스냅샷’은 현재 VM disk volume들의 상태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스냅샷을 저장해둔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이미지 생성 및 볼륨 생성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단 시간에 VM에 대한 정보의 백업, 복원이 가능하며 서버의 설정 및 데이터를 모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Disk Snapshot 생성 스냅샷을 생성하기 위해 “클라우드콘솔” → “Server” → “Disk”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스냅샷을 생성하기 위한 서버를 선택하신 후, ‘’상세정보” 탭의 오른 편 하단에 위치한 “스냅샷” 버튼을 클릭 합니다. ※ 주의 : 스냅샷 기능은 VM 의 volume 을 가상 디스크 이미지로 백업하는 기능이므로 VM 의 메모리나 CPU .. 2022. 7. 26.
[KT Cloud] Volume 생성 이전 시간에 Storage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Volume 생성 및 Mount 하는 과정을 알아 보겠습니다. Volume 개요 원하는 용량의 데이터 볼륨을 생성하고, 이를 서버에 연결하여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HDD 기반의 볼륨을 지원하며, 볼륨은 10GB 단위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Volume 생성 Server > Volume 에서 [볼륨 생성]을 클릭합니다. 위치, 이름, 상품, 용량, 요금제 설정하고 [생성하기]를 클릭합니다. 목록에서 생성된 볼륨을 확인합니다. Volume 연결 생성한 볼륨을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Volume을 연결할 대상 서버를 선택하고 [연결하기]를 클릭합니다. 해당 Volume의 상태가 '분리'에서 '사용'으로 바뀌었는지 확인합니다. Volu.. 2022. 7. 6.
[KT Cloud] Storage 상품 소개 CSP에서 Storage 상품은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든 신청만 하면 원하는 성능을 가진 저장소를 만들어 주는 상품으로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 및 SSD를 대채할 수 있는 상품 입니다. KT Cloud 에는 Storage 상품은 Object Storage, NAS, SSD Volume 상품을 지원합니다. 각 상품에 대해 알아봅시다. 1. Object Storage * Petabytes 규모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고확장성 스토리지로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data 저장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Storage 서비스. * RESTful API (HTTP 프로토콜 활용) *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Object Storage 내 Data에 대해 URL을 통한 손쉬운 접근이 가능합.. 2022. 6. 28.
LENA-WEB 설치 이전 시간에 LENA Manager 설치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Web 서버 설치 및 LENA Manager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사전 작업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 lena 계정 생성 * lena 전용 디렉토리 생성 * java 파일 압축해제 * lena web 파일 압축해제 예시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LENA 매뉴얼 추천 디렉토리 경로 입니다. ) * LENA 디렉토리 : /engn001 * java 디렉토리 : /engn001/java * LENA Manager 디렉토리 : /engn001/lenaw/1.3 2. LENA Web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lena로 변경시켜 줍니다. 3. lena 계정으로 변경한 후, /engn001/.. 2022. 6. 13.
LENA WEB Server(KT G-cloud 상품) LENA Web Server는 웹 상에서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안정성 및 고가용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웹서버 입니다. LENA Web Application Server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통합관리 콘솔(LENA Manager)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웹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고, 모니터링을 통해 서버 장애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특징 클라우드 최적화 다양한 클라우드 전환 아키텍처 지원 지속적인 서비스 운영과 자원 최적화를 위한 확장성 지원 가변적인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정적 Load Balancing 제공 효율적 서비스 운영 Cloud 기반의 다중 서비스 관리/운영에 최적화 다수 서버의 중앙 관리 및 제어를 통한 운영 편의성 / 효율성 제고 통.. 2022.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