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 Cloud22

LENA Web Application Server소개 1. LENA Web Application Server란? 온프레미스 뿐 아니라 클라우드 환경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미들웨어로 편리한 관리 기능, 안정성 및 고가용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세부적으로는 Application Server (WAS)와 세션서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웹 콘솔을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장애 진단/대응 기능을 통해 서버 장애에 효율적으로 대응합니다. 자매 솔루션인 LENA Web Server와 함께 구성할 때 통합운영을 통해 운영 편의성과 효율성을 더욱 강화 할 수 있습니다. 2. 서비스 특징 1. 클라우드 최.. 2022. 5. 25.
[KT Cloud] 로드 밸런서 상품 소개 다른 CSP처럼 KT Cloud도 로드 밸런서 상품을 제공합니다. KT Cloud에서는 일반적인 로드밸런서 상품 외에도 GSLB 라는 로드밸런서 상품이 있습니다. 각 상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1. 로드밸런서 KT Cloud의 로드밸런서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 KT Cloud 로드밸런서의 특징 공인 IP와 백 엔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LB를 생성함. ( 프론트 엔드는 공인IP로 들어오는 모든 트래픽 ) SynAttack 방어가 뛰어남. HTTP/HTTPS(Bridge)/TCP/FTP 로드밸런싱 제공 LB당 최대 세션 수는 40만이다. ※ 로드 밸런서의 네트워크 대역 ( 백 엔드 서버는 아래의 대역만 방화벽을 해제할 것을 추천 ) Central A/B : 14.63.233.24/29 KO.. 2022. 5. 19.
KT Cloud 서버 생성 실습 1. Tier 생성 대시보드에서 Tier 메뉴에 들어온 후, Tier 생성 버튼을 눌러준다. 네트워크 대역을 기본 설정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본 설정 사용 시 CIDR값만 지정을 해 주면 VM 사용범위, 로드밸런서 사용 범위, 베어메탈, 기타 범위 및 Gateway IP까지 자동으로 할당해준다. 수동으로 VM 사용범위 및 Gateway IP 등 다른 값들의 범위를 지정하여 주고 싶으면 원하는 IP 대역으로 설정을 눌러주면 값 지정이 가능하다. 2. SSH Key Pair 생성 대시보드에서 SSH Key Pair 메뉴에 들어온 후, SSH Key Pair 생성을 눌러준다. 키를 생성할 위치(Zone) 및 Key 이름을 지정하여 준다(최대 8자). 3. Server 생성 대시보드에서 Server 메뉴 클릭.. 2022. 5. 3.
KT Cloud의 단점 KT Cloud 및 KT G-Cloud를 사용하면서 느낀 단점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 CSP 이용자에 대한 배려 부족 콘솔이 불친절하다. 서버나 방화벽 서비스를 이용할 때, IP 순으로 정렬을 하거나 이름 순으로 정렬을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정렬을 할 경우 리소스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다른 CSP의 방화벽은 서버별로 방화벽 그룹을 조회할 수 있거나 방화벽의 이름을 정하는 방법으로 어떤 정책을 가지고 있는지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KT Cloud 같은 경우에는 계정에 있는 Zone의 모든 서버의 방화벽을 한 번에 나열하는 방식입니다. 그로 인해 조회하기가 불편하고 방화벽 전용 페이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부분에 방화벽 팝업 창으로 구성이 되어있어서 추가 및 삭제를 할 때도.. 2022. 4. 21.
KT G-Cloud 소개 KT G-Cloud란? 일반 Public Cloud 서비스 대비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하는 공공기관 전용 Cloud 컴퓨팅 인프라 서비스입니다. KT G-Cloud는 Cloud 서비스 보안인증(CSAP)을 최초로 획득하였으며,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해 업무 유형별 공공 고객 니즈를 충족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비스 구성 1) 공공 전용 Public Cloud(G-Cloud) 네트워크, 보안 장비, 서버 등의 물리적 시스템 분리와 다양한 정보보호 인증을 획득하여 강력한 보안성을 확보한 공공 전용 Public Cloud 주요 도입 범위 : 대민 시스템 / 공공기관 업무 시스템 2) on-site Cloud 서비스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내부에 Cloud를 구축하여 KT가 원격으로 운영 관제를.. 2022. 4. 13.
[KT Cloud] KT Cloud 개요 KT 클라우드는 국내 최초의 공공 클라우드로 2011년 3월 public cloud 서비스 런칭을 시작으로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2015년 8월에 국내 최초로 공공 G Cloud를 오픈 하여 국내 공공 사업에 어울리는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게 되었고, 2016년에는 US-wesk zone을 추가하여 미국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 2019년에는 세계최초로 5G Edge Cloud를 상용화 및 금융 전용 Cloud를 오픈하였습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선두주자이자 세계로 뻗어나가는 전도유망한 클라우드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KT Cloud 의 장점 1. Cloud, IDC, NW 회선을 모두 보유하고 있어 Cloud + IDC + NW 통신이 가능.. 2022. 4. 6.